: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서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괏값을 돌려줄때 새용
- 매개변수: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 인수: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값
def add(a,b): #a,b 는 매개변수 return a+b ---------------------------- print(add(3,4)) 3,4는 인수
- 일반적인 함수
결과값을 받을 변수 = 함수이름(입력인수1,입력인수2,..)- 입력값이 없는 함수
def say(): return 'Hi' ------------------ >>a=say >>print(a) Hi
결과값을 받을 변수=함수이름()
- 결과값이 없는 함수
def add(a,b): print(%d,%d의 합은 %d 입니다." %(a,b,a+b) ---------------- >>add(3,4) 3,4합은 7이다
함수이름(입력인수1,입력인수2...)
cf)print문은 수행할 문장에 속함=> return 명령어만이 결과값을 돌려줄수 있다
- 입력값도 결과값도 없는 함수
def say(): print('hi') __________________________ >>say() hi
함수이름()
>>def add_many(*args): result = 0 for i in args: result = result +i return result
argus는 임의로 정한 변수이름으로 다른 용어로도 가능
만약 하나의 튜플 값을 2개의 결괏값처럼 받고 싶다면:result1,result2= add_and_mul(3,4) --------------------------------- result1 #7 result2 #12
return문이 두개가 생길경우 첫번째 return문만 실행된다.
즉, return문을 만나는 순간 결괏값을 돌려준 다음 함수를 빠져나간다
return 단독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