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jax({
url: "ajax.do"
type: "post"
data: { 비동기 : "ajax",
동기 : "form"},
success: function(data){
},
error: function(){
alert("통신실패")
},
})
위의 코드가 기본적인 ajax 작성 코드이다.
url에 적힌 주소로 data를 보내서 type의 형태로 데이터를 보내주고 dataType의 형태로 데이터를 받아온다.
success는 통신성공시 실행되는 callback 함수이다.
form은 데이터를 주고받을때 페이지 전체가 리로드 되는 동기 방식이다.
action을 취하고 난 후에 페이지가 변경되는 경우에 사용을 하고, 주로 로그인 후 페이지를 이동할때 사용한다.(물론 ajax도 페이지 이동은 가능하다.)
전체 페이지를 리로드하기 때문에 서버의 부하가 더 크고, 매번 페이지를 새로 읽어와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린다.
<form action="form.do">
<input type="text" name="form">
</form>
<script>
function ajax(){
var formValues() = $("form[name=sampleForm]").serialize();
<br>
$.ajax({
url: "test.do",
type: "Get",
data: formValues,
success: function(json){
alert("테스트")
},
error: function(){
alert("실패")
},
})
}
</script>
<br>
<form name="sampleForm">
<input type="text" name="id" value="ayleen">
<input type="date" name="bday" value="2021-01-06">
</form>
참고자료
serialization : http://www.devkuma.com/books/pages/246
serialization : https://carpet-part1.tistory.com/377
ajax와 form 차이 : https://milkye.tistory.com/266
ajax와 form 차이 : https://hipdizzy.tistory.com/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