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 ✅ 버전관리 시스템 (Version Controll System)
GitHub : ✅ 원격 저장소 (Remote Repository)
깃허브에서 Repository 생성하기
Public (전체공개) / Private (비공개)
생성 후 repository-Setting-General-Danger Zone
-Change repository visibility-Change visibility 클릭으로 변경가능
➡️ github 접속 및 가입
➡️ settings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s
토큰 발행 후 토근 키 복사한 후 따로 저장해 두는 것을 추천!!
//바탕화면에 폴더 생성 후 작업예정
cd desktop으로 바탕화면으로 이동
mkdir로 바탕화면에 test라는 폴더 생성
test 폴더 진입 후 Git 시작
test폴더로 이동 후 touch 명령어로 test.md 파일 생성
vi 편집기 실행 후 insert 모드 전환 후 내용 작성 ex) 안녕하세요!
insert 모드 전환은 알파벳 i를 누르면 가능
vi 편집기 빠져나오는 방법은 insert 모드에서 esc 클릭 후
:wq를 사용하면 빠져나올 수 있다.
빠져나오는 방법을 몰라서 당황했던 기억이...🤦
git status를 사용해서 지금 현재 git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git add를 사용해서 test 폴더의 변경사항을 중간 저장한다.
git commit -m을 사용해서 한줄 메세지를 포함하여 커밋한다.
만약에 commit을 진행하던 중 dquote 뜨더라도 당황하지 말고 " Enter를 입력하면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커밋을 진행하면 된다.
저도 dquote를 만났습니다...😅
git log를 사용해서 commit history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 후에 깃허브에서 New repository를 생성 후
Quick setup - https 주소를 복사한다.
git_test repository와 test 폴더를 연결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 repository 주소)
git push origin (main or master)를 사용해서 repository에 넣을 수 있다.
확인해 보면 커밋이 잘 이루어진 것을 볼 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