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 대해 알아봅니다.
▶︎ 파이썬이란?
인터프리터 언어
- 코드를 한 줄씩 해석하며 실행.
- 컴파일 언어에 비해 실행 속도는 다소 느릴 수 있지만,
- 컴파일 언어인 c언어와 결합 가능 (접착언어).
접착언어
- C언어와 같은 컴파일 언어와 결합할 수 있다.
-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뼈대는 파이썬으로 만들고 빠른 실행 속도가 필요한 부분은 C로 만들어서 파이썬 프로그램 안에 포함시킬 수 있다.
간결하고 명확한 문법
- 파이썬은 가장 좋은 방법 1가지만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 다른 언어에서 늘 보게 되는 단락을 구분하는 괄호({})가 없고, 들여쓰기(indentation)로 코드의 구조를 표현.
- 들여쓰기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 들여쓰기가 맞지 않으면 실행되지 않는다.
▶︎ 파이썬 설치
▶︎ 파이썬 실행
REPL
>>>
: REPL read evaluate print loop
- 파이썬 코드를 즉시 입력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대화형 실행 환경.
- 실행방법
- window: 시작메뉴에서 python 검색 후 실행
- 맥: 터미널에서
python
>>>
프롬프트가 표시되면 파이썬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 종료:
quit()
or exit()
IDLE
- IDLE(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nment): 파이썬 설치 시 함께 제공되는 기본 에디터.
- 실행방법
- 시작메뉴에서 ‘idle’ 검색 후 실행.
- 맥: 터미널에서
idle3
- 기능
- REPL 방식이 기본적으로 실행.
- REPL 방식 말고 다른 방식 사용 가능.
- file > new file 로 .py 파일을 만들어서 코드 작성 후,
- .py 파일에서 run > run module 시 실행.
터미널
- .py 파일을 작성한 후 터미널에서 직접 실행.
- 파이썬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
python [파일이름].py
editor
참고) https://wikidocs.net/book/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