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lipse 이클립스 사용법 - Server, Project, JSP 생성 에서 '3. 프로젝트 생성'까지 진행한 후의 과정이다.
[src] > [webapp] 마우스 우측 버튼 > New > Other > Web > Servlet > [Next] > Java package(패키지명), Class name(클래스명) 입력 후 [Next]
Name 과 URL mappings 이 자동 설정되어 있다. > [Next]
오버라이딩 하려는 메서드를 체크할 수 있다. doPost, doGet 메서드가 자동 설정되어 있다. (Servlet 파일에 미리 만들어둘 함수들을 결정하는 단계) > [Finish]
패키지 아래에 프로젝트가 생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package com.servle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x.servlet.ServletException;
import javax.servlet.annotation.Web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
* Servlet implementation class MyServlet
*/
@WebServlet("/MyServlet")
public class MyServlet extends HttpServlet {
private static final long serialVersionUID = 1L;
/**
* @see HttpServlet#HttpServlet()
*/
public MyServlet() {
super();
// TODO Auto-generated constructor stub
}
/**
* @see HttpServlet#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response.getWriter().append("Served at: ").append(request.getContextPath());
}
/**
* @see HttpServlet#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protected void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doGet(request, response);
}
}
public class MyServlet extends HttpServlet
: HttpServlet 클래스의 상속을 받는 클래스@WebServlet("/MyServlet")
: 내가 매핑값으로 작성해두었던 url로 매핑되어져 있음doGet()
: 클라이언트로부터의 HTTP 요청에 대한 처리를 담당HttpServlet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서블릿을 개발하기 위한 추상 클래스
jsp 와 servlet 으로 데이터 전송하기 (등록, 목록) 에서
jsp 와 servlet 을 작성한 후 데이터가 전송되는지 확인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