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연히 알고리즘만 하지 말고, 내 목표를 정확히 하고, 파이썬으로 결과물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에서 비롯해 유튜브 '생활코딩'의 영상으로 공부하기로 했다.
먼저 웹 수업을 추천하셨기에 따라가보려고 한다.
유튜브 생활코딩 : WEB1 - HTML & Internet
ctrl+o Mac은 cmd+o → 파일 열기

<strong> ... </strong>
<u> ... </u>
/를 붙인다.ex) h 태그를 쓰면 글씨가 두껍다, 줄바꿈이 된다 등등
<h1> ~ <h6>h = headings, 제목
<h1> ... </h1> 부터 <h6> ... </h6> 까지는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
7은 없다.
코드에서 줄바꿈을 한다고 해도 <h> 제목 태그를 쓰지 않으면 줄바꿈이 되지 않는다.

<h> 제목 태그 예시
내가 공부할 때나 실행을 할 때 작은 것은 다 제쳐두고 바로 응용부터 하려고 해서 더 어렵고 힘들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쌓아보도록 노력하자!
<br>(이건 이미 velog에서 많이 써서 익숙해졌다)
<br>만 쓰면 되고, 코드 줄바꿈은 의미가 없으니 없애도 된다.
<br>를 많이 쓸수록 여백이 넓어진다.
<br>은 어디부터 어디까지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고, 줄바꿈이라는 시각적인 의미만 있으므로 닫히는 태그는 필요없다.<p><p> ... </p>는 어디부터 어디까지가 단락인지 나타내주는 태그
<br> vs <p><br>과 <p> 중에 더 좋은 선택은 <p>이다.<br>은 그냥 줄바꿈일 뿐이지만, <p>는 어디가 단락인지 의미론적으로 표현해줄 수 있으므로 정보로서 더 가치가 있다.<br>는 여백을 원하는대로 만들 수 있지만, <p>는 벌어지는 여백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자유도가 떨어진다.<p style="margin-top:40px;">⭐ 가장 좋은 방법은 의미에 맞는 태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