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비의 봄 TV 스프링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을 시청한 후 학습한 내용을 정리하고 기록하기 위해 작성하는 포스팅입니다.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이란 기존 프로그래밍에서 다양하게 사용하던, 필요한 데이터가 있으면 데이터를 consume하는 쪽에서 함수를 call해서 데이터를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서 Operator는 기존에 pub-sub가 바로 연결되는 구조에서 중간에 다양한 Operator들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다양한 방식으로 가공해주는 역할을 한다.Operator가 포함된 Pub/Sub 흐름Publisher -> Data1 -> Oper
리액터에서는 일정 시점에 특정 메소드를 트리거할 수 있는 hooks를 제공한다.1\. Dropping HooksDropping Hooks는 제대로 동작은 하지만 Reactive 사양을 지키지 않은 경우 동작한다.ex) onComplete() 연산자가 호출된 후 onNe
그동안 스프링 웹플럭스를 사용하면서 나름대로 이게 왜 사용되고 어떤 방식으로 동작되는지에 대해서 누구도 간결하게 설명해주지 않아서 한번 정리해보는 글. (개념이 확실히 정리되지 않으면 설명이 장황해지는 면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뭔가 특히 이 분야에서 공부를 하면서 왜
MSA에서는 어떤 작업이든 Lazy하게 처리하는게 좋다고 한다. 사실 MSA만의 이야기는 아닌거 같고..Lazy하게 처리한다는건 결국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리소스만 써서! 필요한 만큼의 데이터만 주자!하는 거니까 어디에든 적용될 수 있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아
일단 flatMap과 doOnNext의 차이는,flatMap은 앞에서 전달받은 아이템을 다른 형태로 변환하여 방출하는 반면, doOnNext는 로깅, api 콜과 같은 부가적인 동작을 하되, 전달받은 아이템을 변환하여 넘기는 동작은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so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