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About Python 02

Jacob Kim·2023년 12월 29일
0

Datascience Dictionary

목록 보기
6/14
post-thumbnail

변수, 자료형, 연산자

변수(Varables)

name = "name"
print(name)
num =123
print(num)
#name
#123

변수명 규칙

abc ="abc"
abc_123 = 123
Abc_123 = 123
print(abc)
print(abc_123)
print(Abc_123)
#abc
#3123
#123

자료형(Data Types)

불리언 자료형(Boolean Type)

불리언은 TrueFalse값으로만 표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
예제 코드에서 변수 bTrue값을 넣으면 불리언 자료형으로 결정
자료형을 반환하는 내장 함수 type() 함수를 이용하여 자료형을 확인하면 bool로 변환된 결과를 볼 수 있다.

b = True
print(b)
print(type(b))
#True
#<class 'bool'>

정수형 자료형(Integer Type)

10진수(Decimal)

10진수는 일반적인 숫자 표현을 그대로 사용
변수 i에 10진수로 숫자 10을 값으로 넣고, type() 함수를 통해 자료형을 확인하기

i = 10
print(i)
print(type(i))
#10
#<class 'int'>

2진수(Binary)

2진수는 앞에 0b를 붙여서 표현
변수 b에 2진수 표현으로 00b010을 넣고, type() 함수를 통해 자료형을 확인한다.

b = 0b010
print(b)
print(type(b))
#2
#<class 'int'>

8진수(Octal)

8진수는 앞에 0o를 붙여서 표현
변수 o에 8진수 표현으로 0o130을 넣고 확인한다.

o = 0o130
print(o)
print(type(o))
88
<class 'int'>

16진수(Hexadecimal)

16진수는 앞에 0x를 붙여서 표현
변수 h에 16진수 표현으로 0xABC를 넣고 확인한다.
16진수는 10진수와 달리 10부터 A에서 F까지 알파벳을 사용하여 표현

h = 0xABC
print(h)
print(type(h))
#2748
#<class 'int'>

실수형 자료형(Floating-Point Type)

실수형 자료형 표현은 고정소수점과 부동소수점으로 구분한다.

고정소수점(Fixed Point)

기본적으로 고정된 자리수의 소수를 사용하는 고정소수점의 방식
실수형 변수 f에 소수점이 포함된 12.34값을 넣고 확인한다.
type(f)를 통해서 결과를 확인해보면 실수형(float) 자료형으로 출력
파이썬에서는 소수에서 정수부가 0인 경우에는 제외해서 표현이 가능하다
코드에서 값.123dms 0.123을 의미한다.

f = 12.34
print(f)
print(type(f))
#12.34
#<class 'float'>
f = .123
print(f)
#0.123

부동소수점(Floating-Point)

컴퓨터에서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넓은 범위의 값을 근사하여 표현하는 부동소수점 방식이 있다
부동소수점에 대한 개념을 모르는 경우에는 doc를 보도록 한다.
파이썬에서는 e 기호를 이용하여 지수에 대한 표현을 사용한다.
e 변수를 할당한 1234e-2라는 표현을 쓸 수 있으며, 실제 결과는 12.34라는 값으로 출력된다.
type(e) 함수를 통해 타입을 확인해보면 실수형
마찬가지로 123e-3을 쓰게 되면 결과는 0.123

e = 1234e-2
print(e)
print(type(e))
#12.34
#<class 'float'>
e = 123e-3
print(e)
#0.123

복소수형 자료형(Complex Type)

복소수(complex number)는 임의의 실수 a,b에 대해 a+bi의 꼴로 나타내는 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a는 실수, b는 허수부분을 의미한다.
i는 제곱하여 -1이 되는 수로 허수(imaginary number) 단위라고 한다.
복소수에 대한 개념을 모르는 경우는 수학 쪽에서 해결하면 된다.
파이썬에서는 i대신 j또는 J로 표현
1+23j와 같이 복소수로 표현하기
print() 함수를 이용해 출력한 결과 1+23j
실수부는 c.real로 허수부는 c.imag로 출력
복소수의 경우에는 type() 함수로 타입을 살펴보게 되면 결과는 complex

c = 1+23j
print(c)
print(c.real)
print(c.imag)
print(type(c))
#(1+23j)
#1.0
#23.0
#<class 'complex'>

문자열 자료형(String Type)

문자열(String)은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
문자열을 저장하는 변수를 문자열 변수라고 한다.

string = "string"
print(string)
print(type(string))
#string
#<class 'str'>

리스트 자료형(List Type)

리스트(list)는 여러 값을 하나의 변수에 담을 수 있는 자료형
대괄호 안에 여러 값을 쉼표를 구분자로 표현하여 리스트 변수 생성
간단하게 리스트 생성과 출력을 위해 변수 i 안에 값 1,2,3을 넣어본다.
자료형을 출력해보면 'list'라는 결과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l = [1,2,3]
print(l)
print(type(l))
# [1, 2, 3]
# <class 'list'>

리스트 자료형은 같은 자료형이 아니라 다른 자료형을 가지는 값들도 포함하여 구성 가능
숫자와 문자열이 포함된 리스트 변수 사용하기

l = [1, "One", 2, "Two", 3, "Three"]
print(l)
print(type(l))
#[1, 'One', 2, 'Two', 3, 'Three']
#<class 'list'>

튜플 자료형(Tuple Type)

튜플 자료형은 리스트 자료형과 유사하지만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
튜플은 괄호 안에 여러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사용
변수 t 안에 값 1,2,3을 저장하고, 변수와 변수의 타입을 출력한다.

t  = (1,2,3)
print(t)
print(type(t))
# (1, 2, 3)
# <class 'tuple'>

범위 자료형(Range Type)

불변한 숫자 시퀀스 자료형

r = range(10)
print(r)
print(type(r))
#range(0, 10)
#<class 'range'>

집합 자료형(Set Type)

집합 자료형은 중복과 순서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며 집합 처리를 쉽게 할 수 있다.
집합은 중괄호를 이용해서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넣음
변수 s 안에 값 2,3,1을 넣고, 변수 s의 값과 타입을 출력하는 예제
변경 불가능한 집합 자료형으로 frozenset이 있다.

s = {2,3,1}
print(s)
print(type(s))
fs = frozenset(s)
print(fs)
print(type(fs))
{1, 2, 3}
#<class 'set'>
#frozenset({1, 2, 3})
#<class 'frozenset'>

딕셔너리 자료형(Dictionary Type)

딕셔너리 자료형은 다른 자료형과 달리 키(key)값(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
변수 d에 키와 값을 구분자 :를 이용해서 쌍으로 묶어서 1: 'One', 2: 'Two' 형태로 넣을 수 있음

d = {1: 'One', 2: 'Two'}
print(d)
print(type(d))
#{1: 'One', 2: 'Two'}
#<class 'dict'>

바이트 시퀀스형(Byte Sequence Type)

바이트 자료형은 1바이트 단위의 값을 연속적으로 저장하는 시퀀스 자료형
1바이트는 8비트에 해당하며, 정수값 0 ~ 255(0x00~0xFF) 사용
이진 데이터로 사용되어지거나 1바이트 문자로 고정을 위해 사용
유니코드가 아닌 문자열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
바이트 자료형의 시퀀스 형태로 bytearray 자료형 사용
바이트 자료형의 메모리 값의 표현으로 memoryview 자료형 사용

byte =b'\x00'
print(byte)
print(type(byte))
byte = b"Hello"
print(byte)
print(type(byte))
ba = bytearray(byte)
print(ba)
print(type(ba))
mv = memoryview(ba)
print(mv)
print(type(mv))
b'\x00'
<class 'bytes'>
b'Hello'
#<class 'bytes'>
#bytearray(b'Hello')
#<class 'bytearray'>
#<memory at 0x7abb5211fc40>
#<class 'memoryview'>

자료형 변환

bool()

bool() 함수는 다양한 자료형을 불리언형으로 변환
0이나 False 값이 아닌 경우는 모두 True로 변환

print(bool(True))
print(bool(False))
print(bool(10))
print(bool(0b010))
print(bool(0xABC))
print(bool(12.34))
print(bool(1234e-2))
print(bool('10'))
#True
#False
#True
#True
#True
#True
#True
#True

int()

int() 함수는 다양한 자료형을 정수형으로 변환
복소수형은 정수로 int() 함수를 통해 변환이 되지 않음
불리언 형은 값으로 TrueFalse만 가지고 int() 함수를 통해 정수로 변환되면 True1False0으로 변환
정수값 10과 2진수 0b010, 8진수 0o130, 16진수 0xABC는 모두 같은 정수형이라서 그대로 값을 유지하고, 10진수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고정소수점이든 부동소수점이든지 소수점 이하를 제외하고 변환, 예를 들어, 12.34는 12로 소수점을 제외하고 변환
문자형은 기본적으로는 문자열을 10진수 변환, 예를 들어, int('10')은 기본 10진수로 문자열 '10'을 정수형 10으로 변환
2진수, 8진수, 16진수 등의 다른 진수로 된 문자열일 경우에는 몇 진수에 해당되는지를 입력해주면 그에 맞추어 변환
int('010', 2)와 같이 문자열 '010'을 2진수라고 알려주고 변환하기 위해서 2라고 입력하고, 8진수과 16진수도 마찬가지

print(int(True))
print(int(False))
print(int(10))
print(int(0b010))
print(int(0xABC))
print(int(12.34))
print(int(1234e-2))
print(int('10'))
print(int('010',2))
print(int('130',8))
print(int('ABC',16))
#1
#0
#10
#2
#2748
#12
#12
#10
#2
#88
#2748

float()

float() 함수는 자료형을 실수형으로 변환
복소수형은 변환이 되지 않고, 문자열 형태의 2진수, 8진수, 16진수도 변환이 되지 않음
int() 함수를 사용한 결과와 유사하지만, 소수점 이하 값이 포함
만약 소수점 이하 값이 없다면 .0으로 변환되고, 소수점 이하 값이 있는 실수형은 동일한 값으로 변환

print(float(True))
print(float(False))
print(float(10))
print(float(0b010))
print(float(0xABC))
print(float(12.34))
print(float(1234e-2))
print(float('10'))
#1.0
#0.0
#10.0
#2.0
#2748.0
#12.34
#12.34
#10.0

complex()

complex() 함수는 자료형을 복소수형으로 변환
불리언형,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문자형 모두 복소수형으로 변환 가능
허수가 있는 복소수형을 제외하고 다른 자료형은 허수 부분이 없어서 OJ로 변환

print(complex(True))
print(complex(False))
print(complex(10))
print(complex(0b010))
print(complex(0xABC))
print(complex(12.34))
print(complex(1234e-2))
print(complex(1+23j))
print(complex('10'))
#(1+0j)
#0j
#(10+0j)
#(2+0j)
#(2748+0j)
#(12.34+0j)
#(12.34+0j)
#(1+23j)
#(10+0j)

str()

str() 함수는 파이썬의 모든 자료형을 문자열로 변환
자료형의 값을 그대로 문자열 형태로 변환

print(str(True))
print(str(False))
print(str(10))
print(str(0b010))
print(str(0xABC))
print(str(12.34))
print(str(1234e-2))
print(str(1+23j))
print(str('10'))
print(str([1,2,3]))
print(str((1,2,3)))
print(str({1,2,3}))
print(str({1: "One", 2: "Two"}))
#True
#False
#10
#2
#2748
#12.34
#12.34
#(1+23j)
#10
#[1, 2, 3]
#(1, 2, 3)
#{1, 2, 3}
#{1: 'One', 2: 'Two'}

eval()

eval() 함수는 문자열에 포함된 수식을 계산하여 나온 결과를 반환
'1 + 2'라는 문자열에 대해서 그대로 출력하는 것과 달리 계산된 결과 값은 3을 출력
그 밖에도 -, *, /와 같은 여러 수식들에 대해서도 계산 가능

print("1+2")
print(eval("1+2"))
print(eval("10+20-30"))
print(eval("10 * 10"))
print(eval("100 / 10"))
#1+2
#3
#0
#100
#10.0

tuple()

tuple()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의 자료형을 튜플 자료형으로 변환
문자열 'minjun'을 문자 단위로 구분하여 튜플 자료형으로 변환
리스트 자료형 [1, 2, 3]이나 튜플 자료형 (1, 2, 3)도 튜플 자료형으로 (1, 2, 3)으로 변환

print(tuple('minjun'))
print(tuple([1,2,3]))
print(tuple((1,2,3)))
#('m', 'i', 'n', 'j', 'u', 'n')
#(1, 2, 3)
#(1, 2, 3)

list()

list()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의 자료형을 리스트 자료형으로 변환
문자열 'minjun', 리스트 [1, 2, 3], 튜플 (1, 2, 3)에 대해서 리스트 자료형으로 변환

print(list('minjun'))
print(list([1,2,3]))
print(list((1,2,3)))
#['m', 'i', 'n', 'j', 'u', 'n']
#[1, 2, 3]
#[1, 2, 3]

set()

set()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튜플, 집합, 딕셔너리 자료형을 집합 자료형으로 변환
집합의 특성답게 요소에 대해서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변환
리스트, 튜플, 집합 자료형도 집합 형태로 변환이 되며, 딕셔너리 자료형도 집합으로 변환
딕셔너리 자료형은 키와 값으로 구성된 구조에서 키 값에 해당하는 것만 집합으로 변환

print(set('minjun'))
print(set([1,2,3]))
print(set((1,2,3)))
print(set({1,2,3}))
print(set({1:'One', 2:"Two"}))
#{'j', 'n', 'i', 'u', 'm'}
#{1, 2, 3}
#{1, 2, 3}
#{1, 2, 3}
#{1, 2}

frozenset()

frozenset() 함수는 문자열을 고정 집합 형태로 변환
set() 함수는 집합의 값을 추가 및 제거 등이 가능
frozenset() 함수는 수정 불가능한 집합 자료형

print(frozenset('Minjun'))
print(frozenset([1,2,3]))
#frozenset({'j', 'n', 'i', 'M', 'u'})
#frozenset({1, 2, 3})

dict()

dict() 함수는 딕셔너리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역할
(키: 값)으로 구성된 튜플의 시퀀스 형태로 값을 가짐

print(dict({1:'One', 2:'Two'}))
print(dict({'One':1, 'Two':2}))
#{1: 'One', 2: 'Two'}
#{'One': 1, 'Two': 2}

chr()

chr() 함수는 정수를 문자로 변환
컴퓨터에서는 문자를 처리하기 위해 각 문자마다 특정 정수값으로 매핑: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chr() 함수는 ASCII 기준에 따라서 정수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나타냄
예를 들어, ASCII에서 정수 값 97은 문자 a에 매핑되어 chr(97)의 결과 값은 문자 a

print(chr(97))
print(chr(65))
print(chr(122))
print(chr(90))
#a
#A
#z
#Z

ord()

ord() 함수는 chr() 함수와 반대로 문자를 정수 값으로 변환
ASCII에 맞춰서 문자 'a'에 해당하는 정수 값인 97을 출력하기

print(ord('a'))
print(ord('A'))
print(ord('z'))
print(ord('Z'))
#97
#65
#122
#90

bin()

bin() 함수는 정수를 2진수 문자열로 변환
자료형을 2진수 표기인 '0b'가 붙은 형태의 문자열로 변환
bin() 함수로 True0b1로 출력하고, False0b0으로 출력하기
10진수, 2진수, 8진수, 16진수 정수형도 2진수로 변환되어 출력

print(bin(True))
print(bin(False))
print(bin(10))
print(bin(0b010))
print(bin(0o030))
print(bin(0xABC))
#0b1
#0b0
#0b1010
#0b10
#0b11000
#0b101010111100

oct()

oct() 함수는 정수를 8진수 문자열로 변환
불리언형, 정수형 등의 자료형을 8진수 표기인 '0o'가 붙은 형태의 문자열로 변환
oct() 함수를 이용해 True0o1로 출력되고, False0o0으로 출력하기
10진수, 2진수, 8진수, 16진수 정수형도 8진수로 변환되어 출력

print(oct(True))
print(oct(False))
print(oct(10))
print(oct(0b010))
print(oct(0o030))
print(oct(0xABC))
#0o1
#0o0
#0o12
#0o2
#0o30
#0o5274

hex()

hex() 함수는 정수를 16진수 문자열로 변환
주어진 자료형을 16진수 표기인 '0x'가 붙은 16진수 형태의 문자열로 변환
불리언형과 정수형 모두 16진수 표기의 문자열로 변환하기

print(hex(True))
print(hex(False))
print(hex(10))
print(hex(0b010))
print(hex(0o030))
print(hex(0xABC))
#0x1
#0x0
#0xa
#0x2
#0x18
#0xabc

bytes()

bytes() 함수는 자료형을 바이트형으로 변환
객체를 바이트 객체로 변환

print(bytes(True))
print(bytes(False))
print(bytes(10))
print(bytes(b'Hello'))
print(bytes([1,2,3]))
#b'\x00'
#b''
#b'\x00\x00\x00\x00\x00\x00\x00\x00\x00\x00'
#b'Hello'
#b'\x01\x02\x03'
profile
AI,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lectronics, Computer Science, Bio, Algorithm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