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차 과제

Jeongyun Heo·2021년 11월 10일
0

함수는 재사용하기를 원하는 기능을 담는 방법이다.

자신만의 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다음 예제는 두 수를 인수로 가지고 그것을 곱하는 간단한 함수이다.

// 함수 선언
function doSomething() {
  console.log('hello');
}

// 함수 호출
doSomething(); // hello
  1. 어떤 기능을 수행하고 그냥 끝나는 함수
  2. 어떠한 계산을 하고 특정한 값을 전달하는 함수
// 함수 선언
function add(a, b) {
  const sum = a + b;
  return sum;
}

// 함수 호출
const result = add(1, 2);
console.log(result);
// 함수 선언
function doSomething(add) {
  console.log('hello');
}

// 함수 호출
doSomething(add); // 
ƒ add(a, b) {
    const sum = a + b;
    return sum;
}

// 함수 선언
function doSomething(add) {
  console.log(add);
  const result = add(2, 3);
  console.log(result);
}

// 함수 호출
doSomething(add);

// 함수 선언
function add(a, b) {
    const sum = a + b;
    return sum;
}
ƒ add(a, b) {
    const sum = a + b;
    return sum;
}
5

함수를 변수에 할당

const addFun = add;
console.log(add);

const addFun = add;
console.log(add);
addFun(1, 2); // 3
function multiply(num1,num2) {
    let result = num1 * num2;
    return result;
}

console.log(multiply(4,7)); // 28
console.log(multiply(20,20)); // 400
console.log(multiply(0.5,3)); // 1.5

함수의 기본 형태
익명 함수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다.

function () {}

함수를 코드의 집합이라고 하는 이유는 중괄호{ } 안에 코드를 넣기 때문이다.
함수를 사용하면 좋은 점은 다음과 같다.
1. 반복되는 코드를 한 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다.
2. 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나눠 여러 함수로 나누어 작성하면 모듈화로 전체 코드의 가독성이 좋아진다.
3. 기능별(함수별)로 수정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쉽다.

const test = function () {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console.log('')
}

test()

console.log(typeof test) // function
console.log(test) // [Function: test]
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function
[Function: test]

함수는 코드의 집합이다. 함수를 실행하면 여러 코드를 한 번에 묶어서 실행할 수 있으며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함수의 자료형은 function이며

선언적 함수

function 함수() {
    
}
let 함수 = function () { };
function test() {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1')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2')
    console.log('함수 내부의 코드입니다...3')
    console.log('')
}

test()

console.log(typeof test)

console.log(test)

매개변수 : 함수를 호출할 때 괄호 안에 적는 것

function 함수(매개변수, 매개변수, 매개변수) {
    문장
    문장
    return 리턴값
}
function f(x) {
    return x * x
}

console.log(f(3)) // 9

배열은 객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져서 배열과 객체는 상당히 비슷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배열은 요소에 접근할 때 인덱스를 사용하지만 객체는 key를 사용한다.

객체는 중괄호{ }로 생성한다.

const product = {
    name: "7D Dried Mangoes",
    weight: 100,
    brand: "7D",
    calories: 140,
}

console.log(product['name']) // 7D Dried Mangoes

console.log(product.name) // 7D Dried Mangoes

객체 뒤에 대괄호[] 안에 키를 입력하면 객체의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
product['name']

대괄호[]를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점.을 사용할 수도 있다.
product.name

배열 내부에 있는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하고
객체 내부에 있는 값은 속성(property)이라고 한다.
배열의 요소와 마찬가지로 객체의 속성도 모든 형태의 자료형을 가질 수 있다.

객체의 속성 중 함수 자료형인 속성을 메소드(method)라고 부른다.

메소드 내부에서 this 키워드 사용하기
메소드 내에서 자기 자신이 가진 속성을 출력하고 싶을 때는 자신이 가진 속성임을 분명하게 표시해야 한다. 자기 자신이 가진 속성이라는 것을 표시할 때는 this 키워드를 사용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