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입력을 받는 함수
>>> a = input()
1
>>> a
'1'
>>> int(a)
1
input은 문자열로 돌려주기 때문에
숫자를 입력하고 int 함수로 정수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문자열 내장 함수
내장 함수를 사용하려면 문자열 변수 이름 뒤에 .를 붙인 다음에 함수 이름을 써주면 된다.
문자열 나누기
괄호 안에 아무 값도 넣어 주지 않으면 공백(스페이스, 탭, 엔터 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 준다.
이렇게 나눈 값은 리스트에 하나씩 들어가게 된다.
>>> a = input()
1 2
>>> a
'1 2'
>>> a.split()
['1', '2']
>>>
input = input().split()
a = int(input[0])
b = int(input[1])
print(a + b)
input은 문자열로 돌려준다
input().함수 쓸 수 있다
튜플 인덱싱 사용
input = input().split()
a = int(input[0])
b = int(input[1])
result = (a + b,a - b,a * b,a // b,a % b)
print(result[0])
print(result[1])
print(result[2])
print(result[3])
print(result[4])
문제에서 x(곱하기)를 *로 바꾸면 끝
input = input().split()
A = int(input[0])
B = int(input[1])
C = int(input[2])
result = ((A+B)%C,((A%C)+(B%C))%C,(A*B)%C,((A%C)*(B%C))%C)
print(result[0])
print(result[1])
print(result[2])
print(result[3])
일의 자리부터 곱해야 되기 때문에 문자열 인덱싱 사용하여 맨 끝에 있는 것부터 곱해줘야 한다.
inputA = input()
inputB = input()
a = int(inputA)
b = int(inputB[2])
c = int(inputB[1])
d = int(inputB[0])
e = int(inputB)
result = (a * b, a * c, a * d, a * e)
print(result[0])
print(result[1])
print(result[2])
print(result[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