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배운 <div>
, <a>
, <img>
등의 태그를 사용하여 테니스 마켓 메인 페이지를 구현해보았다. order list를 클릭하면 주문 내역 페이지로 이동하고, order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색상 라켓을 주문할 수 있도록 추후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할 예정이다.
백엔드는 클라이언트에서 발생한 요청이 웹 서버를 거쳐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이동하고, 이곳에서 처리 후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를 조작한 뒤 응답을 반환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클라이언트 -> 웹 서버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 웹 서버 -> 클라이언트
웹 서버는 주로 정적 페이지를 처리한다. 동적 페이지에 대한 처리는 직접하지 않고,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임한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동적 페이지를 처리한다. 필요한 데이터 연산을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 조회, 수정, 삭제에 대한 처리를 요청한다.
JavaScript를 사용하여 서버 측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다. 이를 통해 JavaScript를 백엔드 프로그래밍에도 활용할 수 있다.
Node.js의 http
모듈을 사용하여 HTTP 서버를 구축할 수 있다. require()
함수로 모듈을 불러와서 사용 가능하다.
200
(성공) 404
(찾을 수 없음) 500
(서버 오류)내가 구현한 서버 로직을 모듈화하여 다른 JavaScript 파일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module.exports
를 사용하여 다른 파일에서 require()
로 불러올 수 있게 한다.
htto://localhost:8888
로컬 호스트에서 포트 번호로 8888번을 사용하는 주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