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IntelliJ에서 깃과 깃허브 사용하기

세이라·2023년 7월 19일
0

스터디를 통해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저자 이동욱) 서적을 공부하는 중입니다.

공부/실습한 내용을 정리한 포스팅입니다.
책에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구글링하거나 챗gpt에 물어봐서 보충하였습니다.
(아직 초보라 모르는 부분이 많아 이것저것 다 적었습니다.)

참고한 사이트 출처는 포스팅 맨 하단에 적었습니다.

Git, GitHub

  • 대부분의 IT 회사가 VCS(버전 관리 시스템)인 Git을 통해 버전 관리.
  • 깃의 원격 저장소 역할을 하는 서비스는 깃허브와 깃랩이 있는데 깃허브에 저장.

IntelliJ에서 Git과 GitHub 사용

  1. Ctrl+Shift+A로 Action 검색창을 열어 share project on github 검색
  2. GitHub로그인
  3. 저장소 이름 설정(대부분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
  4. commit 메세지 입력 후 commit과 push

.gitignore

  • .idea 폴더는 모든 커밋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처리
    - IntelliJ에서 프로젝트 실행 시 자동으로 생성되는 파일들이기 때문에 깃허브에 불필요.
  • .gradle 폴더도 마찬가지로 제외
    - .gradle 폴더
    : 작업(task)로 생성된 파일이 저장된 폴더
  • git에서 특정 파일 혹은 디렉토리를 관리대상에서 제외할 때 .gitignore을 사용.
  • .gitignore에 아래와 같이 작성
.idea 
.gradle

※ IntelliJ에서 .ignore 플러그인 설치
(파일위치 자동완성/이그노어 처리여부 확인/다양한 이그노어파일 지원)
1. Ctrl+Shift+A로 Action 검색창을 띄운 후 plugins 검색.
2. Marketplace에서 .ignore 검색
3. install 후 intelliJ 재시작
4. Alt+Insert로 생성 목록 열어서 .gitignore 생성

단축키

Ctrl+Shift+K : Push 창
Ctrl+K : Commit 창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7월 19일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