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티드 프리온보딩 일정을 기다리며 리액트와 자바스크립트를 되돌아본다. 왜??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니까!!
function App(){
return(
<div>
<h1>테스트1</h1>
<h2>테스트2</h2>
</div>
)
}
리액트가 사용하는 Virtual DOM(가상돔) 방식에서는 컴포넌트 변화를 감지할 때 효율적으로 비교하고자 컴포넌트 내부는 하나의 DOM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규칙!
name의 값을 {name}과 같이 넣어서 렌더링 할 수 있다.
import Reactfrom 'react';
function App() {
const name= '리액트';
return (
<>
<h1>{name}</h1>
<h2>test</h2>
</>
);
}
exportdefault App;
state는 컴포넌트 상태를 나타내며, props와 반대로 변할수 있다. 컴포넌트의 내부에서 선언되기 때문에 이러한 state는 외부에 공개하지 않고 컴포넌트가 스스로 관리한다.! state로 사용하는 것은 컴포넌트의 상태값을 나타내기 위한 것들이 될 것이다. ex) (리스트에서 선택된값 또는 체크박스에서 체크된값 등)
먼저 props('properties'의 줄임말)로 state 와의 간단한 차이는 변할수 없다는 것. 컴포넌트는 상속하는 부모 컴포넌트로 부터 props를 받고 이 props는 상속받는 컴포넌트 내에서 수정이 불가능하다. 리엑트에서 부모> 자식 일방향성 상속이라는 특징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