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ting Started
Install
npm i -g vue@cli
CLI 설치 후 스타트하기위해서
vue Create
vue create 폴더이름
버전설치를 위해 키보드를 이용하여 Vue3 설치
CD를 이용하여 폴더에 접근!
code . -r
을 이용하여 그 폴더 안에 접근!
package.json안에 들어가보면
"serve" ,"build", "lint"가 존재하며 serve가 곧 dev다
ESLint를 통해 eslintcofing를 사용할수있고
rules를 통해 새로운 룰을 만들 수 있다.
public의 index.html을 보면 요기서 제작을 한다라고 볼수있다.
src에 보면 main.js를 보면 App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볼 수 있고 연결하는 방법을 볼 수 있다.
App.vue를 보면 template, script, style 3가지로 나눠져있다.
script에서 import로 Helloworld를 가져와서 사용하고있다.
npx degit bbiyagi/webpack-template-basic vue3-webpack-template
바탕화면에 생성하기
src에 main.js / App.vue를 생성한다.
npm i vue@next
@next를 붙여야 vue3버전 설치가 가능하다.
만약 설치가 안될시 버전 문제가 있을 수 있음으로
유튜브 영상참고 자료를 본다.
npm i -D vue-loader@next vue-style-loader @vue/compiler-sfc
3가지 패키지를 개발의존성으로 설치
webpack.config.js 가서 js를 src로 고치고
rules:[
{
test: /\.vue&/,
use: ['vue-loader']
},
...
]
추가한다.
Components 연결 시,
<template>
<h1> {{ message }} </h1>
<HelloWorld />
</template>
<script>
import HelloWorld from '~/components/HelloWorld'
export default {
components: {
HelloWorld
},
}
</script>
이런 방식으로 연결해야한다.
그리고 파일 뒤 확장자 제거하고 싶을 시,
npm i -D file-loader
설치 후, webpack.config.js 에서 입력한다.
const path = require('path')
module.exports = {
resolve: {
extensions: ['.js', '.vue'],
alias: {
'~': path.resolve(__dirname, 'src'),
'assets': path.resolve(__dirname, 'src/assets')
}
},
},
module: {
rules: [
{
test: /\.(png|jpe?g|gif|webp)$/,
use: 'file-loader'
}
]
}
이렇게 하면 '~' 기호를 써서 바로 부를 수 있고 파일 확장자도 제거가능하다.
1일차 요기까지 내일은 ESLint 배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