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2장 : 개략적인 규모 측정

Q·2022년 9월 4일
0

개략적인 규모 측정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성능 수치 항목들을 추정해서 계산하는 것
필요한 기본기로 2의 제곱수나 응답지연(latency) 값과 가용성에 관계된 수치들의 이해가 있어야 한다.

  • 2의 제곱수
  • 응답지연 값
  • 가용성에 관계된 수치들

2의 제곱수

  • 데이터 볼륨 단위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 (양을 측정) 최소단위는 1바이트(8비트) 이다.
  • 아스키 문자 하나가 차지하는 메모리의 크기가 1바이트 이고 보통 많이 사용되는 UTF-8의 경우 1~4 바이트가 사용된다.
  • 한글 또는 다국어를 고려할 때 한 단어를 4바이트 까지 고려하는 것이 좋겠다.
  • 책에서는 페타바이트 까지 나와 있는데 이는 2의 50제곱으로 약 1000조 바이트이다.
  • 대략 많이 사용되는 기가바이트는 약 10억 으로 2의 30제곱이다.

응답지연 값

연산명시간
뮤텍스 락/언락100ns
주 메모리 참조100ns
Zippy로 1KB 압축10us
1Gbps 네트워크로 2KB 전송20,000ns = 10us
메모리에서 1MB 순차적으로 read500,000ns = 250us
디스크 탐색10ms
네트워크에서 1MB 순차적으로 read10ms
디스크에서 1MB 순차적으로 read30ms
한 패킷의 캘리포니아로부터 네델란드까지의 왕복 지연시간150ms

결론은

  • 메모리는 빠르지만 디스크는 아직도 느리다.
  • 디스크 탐색은 가능한 피하라.
  • 단순한 압축 알고리즘은 빠르다.
  •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기 전에 가능하면 압축하라(gzip).
  • 데이터 센터는 보통 여러 지역에 분산되어 있고 센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데는 시간이 걸린다.

가용성에 관계된 수치들

가용률 시간연간 장애시간
99%3.65일
99.9%8.77시간
99.99%52.60분
99.999%5.26분

고가용성이란?
시스템이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는 능력을 지칭하는 용어다.
100%는 시스템이 단 한 번도 중단된 적이 없었음을 의미한다.

트위터 QPS와 저장소 요구량 추정

가정

  • 월간 능동 사용자는 3억 명이다
  • 50%의 사용자가 트위터를 매일 사용한다
  • 평균적으로 각 사용자는 매일 2건의 트윗을 올린다
  • 미디어를 포함하는 트윗은 10% 정도다
  • 데이터는 5년간 보관된다

추정

  • 월간 능동 사용자는 3억 명이다
  • 50%의 사용자가 트위터를 매일 사용한다
  • 3억 * 50% = 1.5억 명

QPS(Query Per Second) 추정치

  • 평균적으로 각 사용자는 매일 2건의 트윗을 올린다
  • QPS = 1.5억 * 2 트윗 / 24시간 / 1분(3600초) = 약 3500
  • 최대 QPS = 3500 * 2 = 약 7000

미디어 저장을 위한 저장소 요구량

  • 평균 트윗 크기(avg)
    • tweet_id 에 64바이트
    • 텍스트에 140바이트
    • 미디어에 1MB
  • 미디어를 포함하는 트윗은 10% 정도다
    • 1.5억 2(개) 10% * 1MB = 30TB/일
  • 데이터는 5년간 보관된다
    • 30TB 365일 5년 = 약 55PB

개략적인 규모 추정과 관계된 면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풀어 나가는 절차다.
올바른(논리적인?) 절차를 밟느냐가 결과를 내는 것보다 중요하다. 면접자가 보고 싶어하는 것은 문제 해결 능력이다.

  • 근사치를 사용한 계산을 할줄 알아야 한다. 즉 반올림, 올림, 내림에 대한 오차 수준을 생각해서 근사치로 계산시간을 줄인다.
  • 가정은 적어 둬라 위에도 적혀 있다.
  • 단위를 붙이는 습관을 둬라 이건 꼼꼼함을 챙기는 포인트로 보인다 개발자는 꼼꼼함도 중요하다.
  • QPS, TPS, 저장소량(?), 캐시 요구량, 서버 수 등 추정하는 방법을 미리 연습해 두어라.
profile
Data Engine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