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 계획상 이번 달 내 안으로 예전에 들었던 (이해를 하지 못했던...) CPP 강의를 총 정리 해보려고 합니다.
본 강의는 아래 링크의 강의를 보고 정리 한 것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cvSwA2MBqw&list=PLMcUoebWMS1nzhlx-NbD4KBGEP1UCUDF_&index=4
이를 들어가기 전에 간단한 용어를 정리 해보자
프로그래밍 언어 : 고수준의 소스 코드 작성하기 위한 문법
오브젝트 코드 : 컴퓨터가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컴파일러 : 소스코드를 오브젝트 코드로 변환하는 도구
링커 : 오브젝트 코드를 실행 파일로 변환하는 도구
테스트 & 디버깅 :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오류를 찾고, 수정함
IDE ( Inter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아래의 예시 코드를 사용하여 VsStudio에서 확인해 보자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favoriteNumber;
cout << "Enter your favorite number between 1 and 100:";
cin >> favoriteNumber;
cout << "Amazing!! That's my favorite number too!" << endl;
return 0; //Optional
}
위의 스크립트가 작성된 소스코드를 ‘ctrl + F7’을 눌러 오브젝트 파일로 바꾼다.
VsStudio에서는 링킹이 따로 없기 때문에 “Build”를 눌러 컴파일과 링킹을 동시에 진행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실행 파일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favoriteNumber;
cout << "Enter your favorite number between 1 and 100:";
cin >> favoriteNumber;
cout << "Amazing!! That's my favorite number too!" << endl;
return 0; //Optional
}
일단 여기서는 입출력을 할 때 cout, cin 과 << 기호를 사용하는 구나! 하고 넘어가구 이후에 ‘정확하게’ 설명 할 것이다.
(라고 나왔지만 내가 살짝 알아봤다 ㅎ)
왜 스트림을 객체로 설계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