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Github 익히기 (1)

Taejoon Han·2021년 7월 26일
0

기술

목록 보기
7/7

목표
1. Git과 Github의 핵심 컨셉이 뭔지 알기
2. 내 코드 어쨌거나 저쨌거나 올려보기

0. Git

  1.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DVCS =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s)
  2. 여러 사람이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한다고 할 때, 해당 프로젝트의 코드는 1)누가 작성했는지, 2)어떻게 작성했는지, 3)언제 작성했는지 등등의 기준에 따라 여러 버전을 가지게 된다. Git은 해당 이력들을 관리하고 협업을 돕는 여러 기능을 제공한다.

1. 기본 중의 기본 개념 or 프로세스

  1. 작업공간에서 작업을 한다.
    *작업공간(working space) = PC환경에서 소스코드를 편집하는 일반적인 프로젝트 폴더
  2. Git Bash를 실행하고 git init 명령어로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한다. 그러면 작업공간 하위에 .git이라는 이름이 폴더가 생기는데 그것이 곧 local git repo.
    *저장소(repository) = working space를 압축해 넣기 위해 git이 제공하는 자료구조 혹은 디렉토리. 로컬/원격으로 나뉜다. 일반적으로 저장소라 하면 로컬을 뜻함.
  3. git status 명령어 : 파일 상태 확인
  4. git add 명령어로 파일을 staging area 상태로 만든다. untracked 상태였던 기존의 파일들이 tracked된다. 여기서 내역을 검토 후 특정 파일만 커밋하는 것도 가능하다.
  5. git commit 명령어 : 현재의 버전을 git에 기록한다는 의미. 자세히는 현재 작업공간의 상태를 commit(변경사항, 이력)으로 만들어 저장소에 저장한다는 뜻.
  6. git remote add origin github주소
  7. git remote -v
    *git remote = 원격과 로컬 저장소를 연결시키는 명령어
  8. git push origin master
    *git push = 원격에 로컬 저장소를 올리는 명령어

더 알아볼 것

  1. 기본 명령어 추가 학습
  2. 브랜치 활용법

참고 링크
Git/Github 안내서
Github에 코드 올리기

profile
개발을 꾸준히 재밌게 배우고 싶은, 예비 개발자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