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4503: 로봇 청소기

비가츄·2022년 8월 11일
0

문제 설명

문제 링크는 여기.

14503번: 로봇 청소기


초기 방의 상태와 로봇 청소기의 위치, 방향이 주어진다. 방은 N*M의 배열 형태이며, 0은 청소가 되지 않은 곳, 1은 벽을 의미한다. 로봇 청소기의 첫 위치는 항상 벽이 아니다.

로봇청소기는 아래의 로직에 따라 청소를 수행한다.

  1.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2.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1.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2.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3.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4.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가 최종적으로 청소한 칸의 개수를 출력하면 된다.

접근

단순 구현문제로, 위의 로봇청소기 로직만 잘 구현하면 된다.

유의할 점은, 입력으로 주어지는 초기 로봇의 방향은 0:북, 1:동, 2:남, 3:서 이지만, 막상 로직에서는 왼쪽을 확인하므로 (d+3)%d을 해주어야 된다는 것이다.

move 함수는 다음과 같다.

나의 경우 로봇청소기 로직 중 1번을 2-a 이후에 수행하게끔 변형하여 구현했다.

//public static int[] dr = { -1, 0, 1, 0 };
//public static int[] dc = { 0, 1, 0, -1 };
public static boolean move() {
	int i = 0;
	for (; i < 4; i++) {
		D = (D + 3) % 4;
		if (arr[R + dr[D]][C + dc[D]] == 0)
			break;
	}
	if (i == 4) {
		R -= dr[D];
		C -= dc[D];
		return arr[R][C]!=1;
	}
	R += dr[D];
	C += dc[D];
	// 이미 청소했음을 표시
	arr[R][C] = 2;
	result++;
	return true;
}

main 함수는 다음과 같다.

// 초기 로봇의 위치는 무조건 청소할 수 있으므로 result = 1로 시작
public static int N, M, R, C, D, result = 1;
public static int[][] arr;
public static int[] dr = { -1, 0, 1, 0 };
public static int[] dc = { 0, 1, 0,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int[N][M];

	// 초기 로봇 청소기 정보 저장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방의 정보 저장
	for (int n = 0; n < N; n++)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m = 0; m < M; m++) {
			arr[n][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 ****** 초기 위치 청소했다고 치고 표시 ******
	arr[R][C] = 2;
	// 더 이상 못 움직일 때까지 청소
	while (move());

	System.out.println(result);
}

소스코드

최종 제출한 코드는 다음과 같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int N, M, R, C, D, result = 1;
	public static int[][] arr;
	public static int[] dr = { -1, 0, 1, 0 };
	public static int[] dc = { 0, 1, 0, -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int[N][M];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n = 0; n < N; n++)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m = 0; m < M; m++) {
				arr[n][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arr[R][C] = 2;
		while (move());

		System.out.println(result);
	}

	public static boolean move() {
		int i = 0;
		for (; i < 4; i++) {
			D = (D + 3) % 4;
			if (arr[R + dr[D]][C + dc[D]] == 0)
				break;
		}
		if (i == 4) {
			R -= dr[D];
			C -= dc[D];
			return arr[R][C]!=1;
		}
		R += dr[D];
		C += dc[D];
		arr[R][C] = 2;
		result++;
		return true;
	}
}

결과

제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위에서 주석으로 ***표시한 초기위치 청소 표시를 안해줘서 틀렸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차이는 따로 없다. 두 번째 제출 때 디버깅용 print() 함수를 만들어 쓴 후 지우지 않고 제출했길래 다시 지우고 제출한 것이다.

고찰

첫 번째는 교육원에서 풀고 따로 코드를 옮겨오지 않아서 그냥 집에서 새로 짰는데, 다시 두 코드를 비교하니 그냥 완전 똑같은 코드였다. 물론 하루 전에 짠 것이니 그랬던 것일 수 있지만… 내 머리 자체가 함수 마냥 같은 문제엔 항상 같은 풀이를 떠올리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profile
오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