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변수

Jong Ho Lee·2021년 8월 16일
0

JAVA

목록 보기
3/7
post-thumbnail

출력함수

  1. System.out.print() : 줄바꿈이 없는 출력문
    ex) System.out.print("문자열");
  2. System.out.printf() : 포멧과 매개변수가 필요한 출력문
    ex) System.out.printf("포멧 - %d", 매개변수);
    포멧에서 매개변수를 활용하는 지시자는 %s(문자열String), %d(정수int), %c(문자char), %f(실수), %b(boolean) 등이 있다.
  3. System.out.println() : 기본적으로 줄바꿈이 포함되어있는 출력문

변수 명명 규칙

  1. 대소문자가 구별되며 길이에 제한이 없다
  2. 예약어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ex) true, false, for, else...
  3.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된다
  4. 특수문자는 '_'와 '$'만 허용된다.
  • 다음은 필수는 아니지만 프로그래머들에게 권장되는 명명 규칙이다
    1) 클래스이름의 첫 글자는 항상 대문자로 한다. 변수와 메서드의 이름의 첫 글자는 소문자
    2) 여러단어로 이루어진 이름은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한다.
    3) 상수의 이름은 모두 대문자로 한다. 여러 단어로 구성되어있을 경우 '_'로 구분

자바의 자료형

  • 기본형
    1) 정수형 : byte(1byte), short(2), int(4), long(8)
    2) 실수형 : float(4), double(8)
    3) 문자형 : char(2)
    4) 논리형 : boolean(1)
  • 참조형 : 배열, 클래스, 인터페이스
  • 상수 : 상수는 메모리 공간으로 한 번 입력되면 변하지 않는 값을 뜻함(주로 유지보수와 이해를 돕기 위해 사용)
  • 자주 사용하는 자료형 : 일반적으로 정수를 사용할 때는 int, 실수를 사용할때는 double, 또 문자열을 사용하는 자료형 String이 있다.(String은 기본형이 아님!)

형변환

  • 형변환 : 변수 또는 상수의 타입을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 강제 형변환 : '()', cast연산자를 이용하여 강제로 형변환할 수 있다.
    단 형변환을 할 때 각 자료형에 따라 값이 어느정도 변환된다.
    ex) int a = 1.666(int); a = 1로 저장됨, char b = (char)66; b = 'B'로 저장됨
  • 자동 형변환 : 서로 다른 타입간의 연산, 대입이 이루어 질 때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형변환을 해줌
    ex) float f = 1234; == float f = (float)1234;
    1) 최대한 기존의 값을 보존할 수 있는 형태로 형변환된다.
    2) boolean형을 제외한 나머지 7개의 기본형은 서로 형변환이 가능하다.
    3) 기본형과 참조형은 서로 형변환할 수 없다.
    4) 서로 다른 타입의 변수간의 연산은 형변환이 원칙이지만 값의 범위가 작은 타입에서, 큰 타입으로의 형변환은 생략할 수 있다.
profile
초보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