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세지 큐는 분산 시스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대규모 데이터 처리 환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으로 소프트웨어 시스템에서 메세지를 비동기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방식이다.
메세지는 데이터를 표한하는 단위로, 송신자에서 수신자로 전달되는 정보
메세지 큐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구조로 일반적인 큐와 유사하게 메세지 큐는 선입선출(FIFO)방식으로 동작합니다.
메세지 브로커는 메세지 큐를 관리하고,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시스템입니다.
대표적인 메세지 브로커는 RabbitMQ와 Apache Kafka가 있습니다.
RabbitMQ는 주로 AMQP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다양한 라우팅 옵션을 제공하여 복잡한 메세지 전달 시나리오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Apache Kafka는 높은 처리량과 내구성을 제공하며, 대규모 데이터 스트리밍과 실시간 로그 분석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메세지 큐의 기본 동작은 송신자가 메세지를 큐에 넣고, 수신자가 큐에서 메세지를 꺼내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서는 다양한 패턴과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의 주문 처리를 진행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작업을 수행해야합니다.
1. 주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2. 결제 처리
3. 재고 확인
4. 고객에게 주문 확인 이메일 발송
5. 배송 준비 및 추저 번호 생성
이러한 패턴을 메세지 큐를 사용한 비동기 처리와 메세지 큐 없이 동기 처리로 구분해보겠습니다.
1️⃣ 메세지 큐 없이 동기 처리
메세지 큐 없이 모든 작업을 동기적으로 처리하는 상황을 가정
1. 고객이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는 모든 작업을 순차적으로 처리
2. 주문 데이터 저장 -> 결제 처리 -> 재고 확인 -> 이메일 발송 -> 배송 준비
3. 이 모든 과정이 끝날 떄까지 고객은 웹 페이지에서 대기해야 합니다.
이러한 경우 만약 결제 처리 단계에서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면 전체 프로세스가 지연되고, 고객 경험에는 나쁜 영향일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약 하나의 작업이 실패하면 이후 작업들이 모두 중단됩니다.
2️⃣ 메세지 큐를 사용한 비동기 처리
주문 메세지 생성
고객이 주문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는 "주문 생성" 메세지를 생성하여 메세지 큐에 넣습니다. 이 메세지는 주문에 대한 모든 필요한 정보가 포함됩니다.
메세지 큐에 메세지 저장
"주문 생성" 메세지는 메세지 큐에 저장됩니다. 이 메세지는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신자에게 전달될 준비가 되었습니다.
비동기 작업 처리
고객 반응
서버는 메세지를 큐에 넣은 후 즉시 고객에게 주문이 접수되었음을 알립니다. 고객은 모든 작업이 백그라운드에서 처리되는 동안 대기할 필요가 없습니다.
각 작업의 독립성
결제, 재고 확인, 이메일 발송, 배송 준비 등 모든 작업은 서로 독립적을 처리됩니다. 만약 결제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해도, 다른 작업들은 계속 진행될 수 있으며, 결제 서비스가 다시 작동할 때 결제 처리를 재시도할 수 있습니다.
1️⃣ 마이크로서비스 간 통신
서비스 간의 의존성을 낮추고, 비동기적으로 통신하기 위해 메세지 큐를 사용
2️⃣ 이벤트 스트리밍
실시간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해 메세지 큐를 통해 데이터를 스트리밍
3️⃣ 작업 지연 처리
특정 작업이 일정 시간 후에 실행되도록 큐에서 대기시키는 패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