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은 자료형을 지정해줄 필요가 없다
type() 함수로 변수의 자료형을 확인 해보기
a=0
print(type(a))
정수 연산 할때, 사용하는 +=를 문자열끼리도 사용가능하다
string='안녕하세여'
string+='!'
string+='!'
print(string)
결과는 안녕하세여!!
string=input('입력하시오")
입력하여 string 변수 저장한다.
파이썬에서 모든 input은 문자열의 형태이다
str=input('입력')
>>100
print(type(str))
string으로 출력
그래서 다른 형으로 쓰려면 형변환을 해주어야한다.
형변환이다.
파이썬 input 함수의 디폴트는 문자열이기, 변환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사용한다
input_a=int(input('입력'))
input_b=int(input('입력'))
print(input_a//input_b)
str()함수를 이용하여 float or int를 문자열로 변경도 가능하다.
format()함수란?
숫자를 문자열로 변경 시켜주는 함수이다
기본 구문
'{}'.format(10)
'졸업까지{}남음'.format('10개월')
format안에 정수, 문자열,float를 넣어서 {}안에 문자열의 형태로 넣으주는 것이다.
{}의 개수와 format의 매개변수의 갯수가 같아야한다
'{:d}'.format(10)
:d를 사용하면, 이는 문자열이 아닌 정수로 저장
여러 가지 사용
de='{:d}'.format(52)
a='{:05d}'.format(52) #5칸 뛰우고 0 채우고
b='{:+5d}'.format(52) # 5칸 뛰우고 기호
c='{:-5d}'.format(-52)
d='{:=+5d}'.format(52) #기호 쓰고 5칸 뛰우기
e='{:=-5d}'.format(-52)
print(de)
print(type(de))
print(a)
print(b)
print(c)
print(d)
print(e)
문자열에서 찾고 싶은 열을 찾는 기능이다
>>>0
b='안녕안녕하세요'.rfind('안녕')
>>>2
in은 문자열에서 찾고 문자가 있는 지 확인 시켜준다
split은 문자열을 매개변수단위로 나누어준다
>>>true
a="10 20 30".split(' ')
>>>['10','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