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을 공부하다 보면 태그를 연속해서 작성해도
옆에 붙어있는 것이 있고, 또 다른 태그는 내림 태그를 사용하지
않았음에도 자동으로 한 칸 내려가는 태그도 있다.
각 태그마다 지니고 있는 속성이 있는데, display 속성에 따라
위와 같은 결과가 발생한다.

오늘의 포스팅은 바로 display 기본 속성이다.

display 기본 속성

display는 레이아웃을 잡을 때 필요한 개념이다.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display의 속성은

  1. inline
  2. block
  3. inline-block이 있다.

1. inline 속성

  1. html 태그 중 span이나 a, img, input과 같은 태그는
    연속해서 태그를 써도 옆에 붙어있는 것을 알 것이다.
    이렇게 연속해서 무언가를 작성해도 옆에 배치되는 속성을
    inline 속성이라고 한다.

  2. CSS로도 display 속성 부여가 가능한데, 간단하다.
    적용시킬 셀렉터에 display: inline; 이라고만 작성해주면 된다.

1.1 inline 속성 특

  • 줄을 안 바꿔도 다른 요소와 같은 행에 위치할 수 있다.

  • content의 너비만큼 가로폭을 차지한다.

  • width, height, margin-top, margin-bottom 프로퍼티를 지정할 수 없다

  • inline 요소 안에서 block 요소를 포함하지 못한다.


2. block 속성

  1. html 태그 중 div나 p, h1, form 태그와 같은 태그는
    태그를 연속 사용해주면 inline과 다르게 줄바꿈이 일어나
    다음 라인에 배치된다.
    이처럼 연속해서 무언가를 작성했을 때 다음 라인에 배치되는 속성을
    block 속성이라고 한다.

2.1 block 속성 특

  • block 속성 태그를 붙여놔도 새로운 라인에서 시작한다.

  • 화면 크기 전체의 가로폭을 차지한다. (width: 100%)

  • width, height, margin, padding 프로퍼티 지정이 가능.

  • block 레벨 요소 내에 inline 레벨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3. inline-block

block과 inline 요소의 특징을 모두 가진 혼종이다.

3.1 inline-block 속성 특

  • 줄을 바꾸지 않고 다른 요소와 함께 한 행에 위치시킬 수 있다.(inline 해당)

  • width, height, margin, padding 프로퍼티를 모두 정의할 수 있다. 상, 하 여백을 margin과 line-height 두가지 프로퍼티 모두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block, inline 둘 다 해당)

  • content의 너비만큼 가로폭을 차지한다.(inline 해당)

inline-block 레벨 요소 뒤에 공백(엔터, 스페이스 등)이 있는 경우, 정의하지 않은 space(4px)가 자동 지정된다.(inline 해당)


Reference
PpoiemaWeb
learnlayout

profile
'Why' better than 'Yes'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