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아직 커밋이 local 에 있을 때

아직 로컬에서 commit 을 하고 push 는 하지 않아 remote 에 올라가지 않은 상태일 경우 다음과 같이 하기

1.1. 가장 최근의 commit 수정

git commit --amend
위와 같이 amend 를 이용하면 가장 마지막에 commit 한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git commit --amend 를 사용하고 커밋을 수정할 수 있는 창이 뜨면, 수정을 완료한 후 esc -> :wq(저장 + 창 닫기) 를 해주기

(로컬 레포지토리->리모트 레포지토리) 1번째는 깃으로 아예 리모트 리포지토리 생성하는 것이고 2번째는 깃허브에서 리포지토리 만들면 거기에다가 git에 있는 내용 커밋 해주는 것이다.

패스워드 입력은 github 패스워드가 아닌 토큰(token)을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21년 8월 13일부터 github 계정 인증 시 비밀번호를 이용한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토큰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아래 절차를 통해 토큰 을 발급받아 패스워드 입력시 사용해주세요.

  • Git local repository를 초창기에 커밋하면 그 이후에 새로생긴 파일 git push 해주기!

(로컬 레포지토리<-리모트 레포지토리)

깃허브에서 오른쪽 상단 연필모양 누르고 내용 수정

Commit 하고 내용을 넣어준다. 그리고 git pull 해주기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필요성

  1. 안정성
  2. 협업가능

다른프로젝트 가져오기(git clone)

  1. 주소복사
  2. 터미널에서 디렉토리 잘 설정!
  3. git clone 주소
    깃허브 프로젝트의 레포지토리를 그대로 복제

README.md( md는 마크다운)

  • 이 프로젝트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설명하거나
  • 프로그램의 주요 사용법을 알려주거나
  •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면 어떤 사전 작업이 필요한지를 알려줌

(요약)

  • git push -u(또는 --set-upstream) origin master : 로컬 레포지토리의 내용을 처음으로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올릴 때 사용합니다.
  • git push : 로컬 레포지토리의 내용을 리모트 레포지토리에 보내기
  • git pull :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내용을 로컬 레포지토리로 가져오기
  • git clone [프로젝트의 GitHub 상 주소] : GitHub에 있는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기
profile
미래개발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