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sonal 컴퓨터의 등장 →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 신문물의 등장!
인터넷 이전의 PC통신이 있었는데 인터넷이 왜 신문물인가요? → PC통신은 전화선을 이용
팀 버너스 리가 고안한 전 세계가 하나의 인터넷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www 통신망 “누구나 평등한 정보공유”
PC통신 : 폐쇄적 - 저속 - 전화선/모뎀
Web : 개방적 - 고속 - 광랜(FTTH)
Web 1.0(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어느 누구나 프로그램을 대중에게 공개할 수 있는 세상의 도래
닷컴붐(=닷컴버블), 커뮤니티 서비스, 포털 사이트 등장, 전자상거래, 이커머스 출시 등 수많은 서비스의 탄생
ex) 네이버, 야후, 다음, 버디버디, 옥션
Web 2.0(2010년대 ~ 현재)
일방향으로 정보 제공받는 사용자가 아닌 직접 정보 생산 및 공유
ex) 위키피디아, 네이버 블로그
웹 생태계의 비약적, 초격차 성장, 정보를 분별하는 능력이 사용자에게 요구됨.
“아이폰의 등장”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영상통화”
Web 3.0(현재~)
테이터의 투명한 공개
가상화폐의 열기에 힘입어 블록체인 기술 주목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은 네트워크 처리 속도가 느림, 오픈소스 형태로 책임자가 불분명
인터넷 상에서는 웹브라우저라는 도구를 사용 ex)크롬브라우저, 인터넷익스플로어, 사파리
결국 중요한 것은 사용자가 인터넷 상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브라우저의 도움을 받아야 함.
클라이언트 : 브라우저에 정보를 요청하는 주체
클라이언트와 서버/서버와 서버 간의 관계 파악

HTTP = HpyerText Transfer Protocol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규칙)
=하나의 웹페이지 내에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장치/링크
=일정한 규칙
=웹 브라우저에서 URL이라는 주소양식을 통해서 소통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인터넷 자원들의 주소
전화통화에서 전화번호는 전화통신의 목적지
사용자가 요청하거나 서버가 응답할 때도 목적지 필요
URL의 요소
1. 프로토콜 : 통신 규칙, ex) HTTP, FTP 등
2. 호스트 : 서버의 주소, ex) google.com을 호스트 네임이라고 지칭
3. 경로 : 호스트 내 서비스의 위치, 서비스 별로 분할 ex) 검색, 회원 등
4. 쿼리 문자열(Query String) : ? 기호로 시작, &로 연결, 키/값 쌍으로 구성
사용자와 서버 간의 소통(요청/응답)에 쿠키가 존재
HTTP 통신은 각각의 응답과 요청이 독립, 이에 이전의 작업을 기억하지 못함 = Stateless 무상태성,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특성
우리가 사용하는 서비스가 계속 연결되어있으면 수천, 수만명이 서버에 연결할 경우 서버에 부담을 줌.
쿠키(cookie) : 키/값 구조, 유효기간 있음
쿠키 데이터는 httpOnly 옵션, secure을 적절히 이용할 줄 알아서 취약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음.
서버가 클라이언트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쿠키
세션 = 쿠키의 한계점 보완
ex) 사용자가 서버에 보낸 Session ID 요청 쿠키는 서버 측의 세션 저장소에 쿠키가 보관됨.
서버는 세션 저장소에서 알맞은 정보를 찾아서 보내는 것.
세션 저장소는 민감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노출 또는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매번 쿠키값을 보내는 리소스 값을 절약
네트워크(network)란? 두 대 이상의 컴퓨터가 연결된 통신망
어떻게 데이터가 오가는지 이해하는 것이 네트워크의 핵심
스위치(switch)란?동일한 네트워크 상에서 호스트를 통신하게 하는 것
라우터(router)란? 스위치와 달리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도 통신할 수 있도록, 공유기라고도 함
인터넷(Internet) = 거대 네트워크
IP(Internet Protocol)란? 컴퓨터 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계층의 규약, 데이터 전달에 필요한 목적지 컴퓨터의 정보가 필요
IP 주소 : 네트워크에서 컴퓨터가 부여받는 고유한 주소
IPv4과 IPv6 병행 사용 중

32비트 주소를 8비트씩 분할
8비트로 쪼개진 데이터 단위를 옥텟(octet), 따라서 총 4개의 옥텟으로 구성되어 있음
하나의 마디씩 2진수를 10진수로 변환하면 IP 주소 형태가 됨
0.0.0.0 ~ 255.255.255.255
공인 IP 와 사설 IP (version과 연관있음)
공인 IP(Public IP) : 전체 인터넷 망에서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주소, IPv4 체계에서 자원 부족(이래서 버전6이 나온 것)
사설 IP(Private IP) : 가정의 LAN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할당되는 주소, 컴퓨터에서 조회되는 IP
하나의 공인 IP에서 수많은 사설 IP 할당이 가능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ex)LG, SK, KT
공인 IP가 궁금하면 네이버에 ‘내 IP’라고 조회해보면 됨
127. 0. 0. 1 =local host = 자기 자신을 가리키는 IP

Port란? 하나의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다양한 서비를 구분하는 역할
하나의 컴퓨터에는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어느 서비스가 최종 목적지인지 알려줘야 함.
즉, 접근하려는 서비스의 목적지 포트를 정확하게 설정해야

DNS(Domain Name Server)란? URL을 해석하여 IP주소로 반환하는 서버
국가, 기업 등이 운영하며 전세계 DNS는 연결되어 있으며, 장애 발생 시 막대한 피해로 이어짐.
URL에 대한 IP주소를 반환하여 각종 서비스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역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