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또는 ts 와 DB를 연결해주는 번역기
npm i -D prisma
프리즈마 설치.
npx prisma init
프리즈마 초기 설정으로 프리즈마 폴더와 schema.prisma
파일과 .env
파일이 생성됨.
npx prisma init
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안내 메시지가 나온다.
https://pris.ly/d/getting-started - prisma 공식 문서
우선 .env
파일은 DB 주소를 넣어줄 것이기에 .gitignore
파일에 등록하여 깃 저장소에 업로드 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env
파일의 DATABASE_URL
값으로 DB 주소 넣기.schema.prisma
파일에 datasource provider
지정하기.provider
는 DB를 의미한다. ( postgresql, mysql, sqlite, sqlserver, mongodb ... )2-1. schema.prisma
파일에서 model
생성하기
3. db full
4. generate
schema.prisma
DB에 대한 모든 것을 담은 파일.
User
라는 모델과 해당 모델이 가지고 있는 필드의 속성들을 지정하는 방법이다.
model User {
id Int @id @default(autoincrement())
phone Int? @unique
email String? @unique
name String
avater String?
createAt DateTime @default(now())
updateAt DateTime @updatedAt
}
@id
: 유니크 식별자
@default
: 해당 필드의 기본 속성을 지정함. @default(autoincrement())
는 id 필드는 값이 증가하는 형태의 필드라고 지정해주는 것.
int?
: 물음표 ?
를 붙이면 해당 필드는 required
가 아닌 유동적으로 존재할수도 존재하지 않을수도 있는 필드라는 것을 의미함.
@default(now())
: 기본 값으로 now() 함수를 사용해 현재 날짜를 값으로 지정함.
@updatedAt
: User
가 업데이트 될 때마다 해당 field가 변할것이라고 prisma에게 알려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