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단한 Terminal command

pwd(Print Working Directory)
mkdir — 폴더 생성
cd(Change Directory) — ../ (상위폴더) ./(현재폴더)
cp(Copy) ex) cp -r (원본 폴더이름) (복사할폴더 이름)
rm(Remove) ex) rm -rf (삭제폴더이름) // -rf 모든것을 강제로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1. 라이브러리 (React, jQuery)
라이브러리는 단어 그대로 도서관이었다.
누군가가 기능을 만들어 라이브러리에 배포하면 사용자는 그 기능을 가져와 입맛대로 커스텀할 수 있다. 매번 같은 기능을 만들때마다 같은 코드를 짜야하는 수고를 덜어주는 것이다.

2. 프레임워크 (Angular, Vue)
프레임워크는 이미 만들어진 구조물에서 기능을 제공한다. 때문에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해야하는 단점이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점 덕에 유지보수에 좋다는 장점이 생기기도하는 재밌는 친구이다.

⚙︎ React 폴더구조

1. pages
페이지 폴더에는 html 의 기능을 하는 파일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index.js 와 _app.js가 있었는데 구동시 첫 화면에 보이는 것이 index.js이고 _app.js는 설정페이지 였다.

2. public
퍼블릭 폴더는 각종 image파일 같은 소스를 모아두는 폴더라고 들었다.

3. styles
스타일 폴더는 css 파일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 import & export

React 에서는 import 와 export를 이용해 다른 폴더에 있는 파일을 불러 올 수 있다.
여기서 조심해야 할 점은 import 가 있으면 export 도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 JSX

JSX는 React전용 HTML이다. JS에서 함수를 선언하고 return을 기준으로 위는 JS 아래는 JSX를 통해 HTML을 만들 수 있다. 아주 편리한 기능이지만 속성값이 약간 다르다.

  • JSX 코딩은 소스코드가 실행될 때 자동으로 HTML로 변환되어 실행된다.

⚙︎ CSS-IN-JS

CSS-IN-JS는 기존 CSS 를 말그대로 JS에서 구현하는 기능이다. 이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코드가 좀더 간결해지며 태그명을 커스텀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이었다.

⚙︎ GIT

git_hub 에 지금까지 작업물을 업로드하는 방법 즉 잔디심는 법을 알았다.

⚙︎ Today Coding

freeboard__frontend 폴더에 게시물 등록 페이지를 만들었다.(기능은 아직 미구현)
바뀐 문법들 보다도 아직까지 구도잡는 것에 어려움을 격고있다. 구도만 잡으면 그 뒤는 쉬운데 그놈에 구도가 잘 안잡힌다...

[링크] https://github.com/Dalaranl/codecamp_frontend_05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