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51 마이크로프로세서

BiteSnail·2023년 10월 31일
0

8051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1단계(마분지 위에 연결) → 2단계(브레드보드 기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과 같은 전자부품 연결) → 3단계(PCB 기판에 직접 연결)

8051 기본 구조

개발된 지 40년이나 된 마이크로컨트롤러지만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성능좋은 CPU가 필요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각각의 pin assignment가 중요함. 메모리 구조(하버드 구조)에 대해서 아는 것도 중요함

핀 기능

총 40개의 핀 중 32개가 input/output 이고 8개가 기타 flag를 나타낸다.

ALU와 각각의 BUS가 존재한다. 내부에 오실레이터가 존재

내부의 리소스를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함.

-1-2+1-3-1

  • 포트 0(P0) (32 ~ 39)
    • 기본 기능으로 8비트 양방향성 I/O 포트로 사용 (풀업 저항 필요)
  • 포트 1(P1) (1~8)
    • 기본 기능으로 8비트 양방향성 I/O 포트로 사용
  • 포트 2(P2) (21 ~ 28)
    • 기본 기능으로 8비트 양방향성 I/O 포트로 사용
  • 포트 3(P3) (10 ~17)
    • 기본 기능으로 8비트 양방향성 I/O 포트로 사용
  • 시스템 리셋(RST) (9)
    •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오래 사용하다가 뭔가 문제가 생기면 리셋한다.
  • 클록 오실레이터(XTAL2, XTAL1) (18, 19)
  • PSEN (29)
    • 프로그램 메모리(ROM)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때 사용
  • ALE / PROG (30)
    • 외부 래치소자에 하위 어드레스를 래치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신호
  • EA / VPP (31)
    • 내부 ROM이 있다면 High(Vcc)에 연결하고 내부 ROM이 없는 경우에는 Low(GND)에 연결한다.
  • VSS(20), VCC(40)
    • Vcc = 5V, Vss = 0V

8051의 기본 특징

  1. 가장 대표적인 Microprocessor
  2. 8bit CPU로 최적화된 응용에 적합
  3. 전력소비가 적다(HMOS: High-density Metal-Oxide-Semiconductor)
  4. 비트단위로 조작 및 제어 가능한 부울함수 처리가 가능
  5. 4Kbyte의 프로그램 메모리(ROM) 존재
  6. 특수 기능 레지스터가 있어 원하는 작업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이 많다.
  7. 외부 메모리 확장 기능 존재
  8. 4개의 입출력 포트 내장
  9. 16bit 타이머/카운터 2개 내장
  10. 완전 전이중 방식의 통신용 직렬 포트가 내장
  11. 2중 우선순위구조를 갖는 5개의 인터럽트 소스 내장
  12. 칩 내에 플래시메모리 내장(Atmega에서)

회로에서

접속 - 만나는 것(점), 교차 - 건너 뛰는 것(뛰어 넘는 것)

저항

  • 고정저항 저항이 정해져 있는 저항
    • 탄소피막: 가격이 저렴
    • 금속피막: 고정밀도
    • 시멘트저항: 고전압
    • 권선저항: 계측기
    • 어레이 저항: 다수의 저항이 필요한 경우 전광판같은 것에 어레이 저항이 있음.
  • 가변저항
    • 볼륨타입-손잡이
    • 반고정 타입-드라이버 필요

저항 구하는 방법은 첫번째 두번째 색깔의 컬러 코드에 세번째 색깔의 컬러코드 만큼의 10제곱을 곱한다. 4번째 색깔은 오차를 나타낸다.

저항 관련 공식

V=IRV=I\cdot R
RD=R1+R2+R3++Rn1RP=1R1+1R2++1RnR_D=R_1+R_2+R_3+\cdots+R_n\\ {1\over R_P}={1\over R_1}+{1\over R_2}+\cdots+{1\over R_n}

커패시터

전기를 저장하거나 방출하는 축전지로서 사용하거나 직류를 통과하지 않는 성질을 이용한다.

  • 주요 용도
    • 다이오드와 정류회로를 구성하여 교류를 직류로 변환
    • 커패시터의 충전 시간을 이용해서 펄스의 시간 지연 회로 구성
    • 저항과 함께 구성하여 저주파 신호만 추출
    • 저항과 함께 구성하여 고주파수 신호만 추출
  • 종류
    • 전해 커패시터
      • 정격 전압(2~500V)이 있으며 비교적 용량이 크다. (0.1µF~15000µF)
      • 극성이 있다.
    • 탄탈 커패시터
      • 전격 전압(3~35V)이 있으며 비교적 용량이 크다.(0.1µF~220µF)
      • 극성이 있다.
      • 전해 커패시터보다 주파수 특성(DC~수 10MHz)이 좋다.
    • 세라믹 커패시터
      • 전격 전압(25V~3KV), 비교적 용량이 작다.(수 pF~ 수 µF)
      • 극성이 없으며 오차가 크다
    • 바리콘
      • 라디오의 동조용으로 사용한다.
    • 트리머
      • 조정용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미세 조정한다.

커패시터에 계속해서 전압을 주면 폭발한다.

profile
느리지만 조금씩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