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으며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JSP페이지의 동작구조였다. 책에서는 JSP파일 동작방식을 한마디로 jsp페이지는 서블릿으로 변환이 되어 요청에 대한 응답을 생성한다'라고 요약한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JSP가 웹서버를 지나 JSP컨테이너에서 파싱하고(처음들어온
일반적으로 JSP는 <% \~~ %>태그를 통해 java 기능을 구현한다. 그러나 이런 스크립틀릿은 가독성이 떨어질 뿐더러, 오래된 방법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나온것이 JSTL이다. JSTL은 JSP를 단순화 하는 다양한 태그를 제공한다. EL은 값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