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sole 객체는 브라우저의 디버깅 콘솔(Firefox 웹 콘솔 등)에 접근할 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동작 방식은 브라우저마다 다르지만, 사실상 표준으로 여겨지는 기능도 여럿 있습니다.console 객체는 아무 전역 객체에서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 브라우징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var, let, const를 사용합니다.var: 중복 선언과 재할당이 가능let: 중복 선언은 불가능 하며, 재할당은 가능const: 중복 선언과 재할당 둘 다 불가능아래와 같이 중복 선언과 재할당이 가능하며 마지막에 할당된 값이 변

원시 타입 : Boolean, String, Number, null, undefined, Symbol (불변성을 가지고 있다.)참조 타입: Object, Array원시 타입: 고정된 크기로 Call Stack 메모리에 저장, 실제 데이터가 변수에 할당참조 타입: 데이터

JavaScript 변수는 새 변수 및 다른 데이터 유형으로 변환할 수 있다.1\. JavaScript 함수를 사용하여2\. JavaScript 자체에 의해 자동으로Converting Strings to NumbersConverting Numbers to Strings

자바스크립트 연산

JavaScript에서 backtick(\`) 문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표현한 것을 템플릿 리터럴이라고 합니다.이렇게 사용하면(1) 줄 바꿈을 쉽게 할 수 있고(2) 문자열 내부에 표현식을 포함할 수 있게 됩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루프(Loop)를 사용하면 코드 블록을 여러 번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for(statement1;statement2;statement3)stat1 : 루프가 시작되기 전에 실행stat2 : 루프 실행을 위한 조건stat3 : 루프 실행된 후마다 실행f

window 객체는 브라우저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며 웹 브라우저 창(window)을 나타냅니다. 또한 window은 브라우저의 객체이지 javascript의 객체가 아닙니다.이 Window 객체를 이용해서1\. 브라우저의 창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고, 이 창을 제어

브라우저에서 UI를 볼 수 있는 것은 이 HTML을 분석해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이 HTML은 요소(Element)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돔(문서 객체 모델)은 메모리에 웹 페이지 문서 구조를 트리구조로 표현해서 웹 브라우저가 HTML페이지를 인식하게 해줍니다.또한 위

window 객체가 브라우저 창 이라고 하면 document 객체는 부라우저 내에서 콘텐츠를 보여주는 웹 페이지 자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document 객체를 이용해서 웹페이지의 상태와 모든 HTML 태그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document 객체의 메서드들을 사용

Document 탐색하기 DOM을 이용하면 요소와 요소의 콘텐츠에 무엇이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언가를 하기 전엔, 당연히 조작하고자 하는 DOM 객체에 접근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DOM에 수행하는 모든 연산은 document 객체에서 시작합니다. doc

document.createElement(tagName);createElement 메서드에 태그 이름을 넣어서 요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parentNode.removeChild(node);하나의 노드를 삭제합니다.삭제할 때는 삭제 할 노드를 자식으로 가진 부모 노드에

위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해서 버튼을 클릭할 때는 클릭 "이벤트"가 발생합니다.이렇게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어떠한 액션을 위한 함수를 호출하는데 그 함수가 바로 이벤트 리스너 입니다.위에서 말한 것 처럼 어떠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벤트 리스너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이벤

이벤트 버블링이란 아래 그림에서 처럼 가장 깊게 중첩된 요소 (3)에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이벤트가 위로(bubble up) 전달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그래서 3번 요소, 2번 요소, 1번 요소에 그 이벤트에 대한 핸들러가 있다면 3번 요소에 핸들러가 실행되고 2번 요

이벤트 캡쳐링이란 이벤트 버블링과 다르게 제일 상단에 있는 요소에서 아래로 이벤트가 내려오는 것을 말합니다.이벤트 캡처링을 더 자세히 보기 위해서 이벤트의 3단계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1\. 캡처링 단계 - 이벤트가 하위 요소로 전파되는 단계2\. 타깃 단계 - 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