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ICPC 탐사대는 남아메리카의 잉카 제국이 놀라운 문명을 지닌 카잉 제국을 토대로 하여 세워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카잉 제국의 백성들은 특이한 달력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M과 N보다 작거나 같은 두 개의 자연수 x, y를 가지고 각 년도를 <x:y>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였다. 그들은 이 세상의 시초에 해당하는 첫 번째 해를 <1:1>로 표현하고, 두 번째 해를 <2:2>로 표현하였다. <x:y>의 다음 해를 표현한 것을 <x':y'>이라고 하자. 만일 x < M 이면 x' = x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x' = 1이다. 같은 방식으로 만일 y < N이면 y' = y + 1이고, 그렇지 않으면 y' = 1이다. <M:N>은 그들 달력의 마지막 해로서, 이 해에 세상의 종말이 도래한다는 예언이 전해 온다.
예를 들어, M = 10 이고 N = 12라고 하자. 첫 번째 해는 <1:1>로 표현되고, 11번째 해는 <1:11>로 표현된다. <3:1>은 13번째 해를 나타내고, <10:12>는 마지막인 60번째 해를 나타낸다.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질 때, <M:N>이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라고 하면 <x:y>는 몇 번째 해를 나타내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각 줄에는 네 개의 정수 M, N, x와 y가 주어진다. (1 ≤ M, N ≤ 40,000, 1 ≤ x ≤ M, 1 ≤ y ≤ N) 여기서 <M:N>은 카잉 달력의 마지막 해를 나타낸다.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T = input.shift();
function gcd(a, b){
while (b > 0) {
let temp = b;
b = a % b;
a = temp;
}
return a;
};
const solution = (arr) => {
let answer = [];
for (let str of arr) {
let count = 1;
let newArr = str.split(' ').map((e) => +e);
let [M, N, x, y] = [...newArr];
while (count <= (M * N) / gcd(M, N)) {
if ((count - x) % M === 0 && (count - y) % N === 0) {
answer.push(count);
break;
}
count++;
}
}
answer.push(-1);
return answer.join('\n');
};
console.log(solution(input));
const input = require('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split('\n');
const T = input.shift();
function gcd(a, b){
while (b > 0) {
let temp = b;
b = a % b;
a = temp;
}
return a;
};
const solution = (arr) => {
let answer = [];
for (let str of arr) {
let arr = str.split(' ').map((e) => +e);
let [M, N, x, y] = [...arr];
// 최소 공배수에 멸망
let last = (M * N) / gcd(M, N);
while (1) {
if (x > last || y > last) {
answer.push(-1);
break;
} else if (x > y) { // x가 더크면 y를 더하고
y += N;
} else if (x < y) { // y가 더크면 x를 더하고
x += M;
} else { // x,y 가 같다면 정답
answer.push(x);
break;
}
}
}
return answer.join('\n');
};
console.log(solution(inp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