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작성한 코드의 가장 작은 단위인 함수를 테스트하는 메소드를 뜻한다. 그래서 내가 작성한 로직을 테스트하는 유닛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게 된다. 백엔드의 경우 테스트할 엔드포인트가 여러 개라면 이것을 테스트하기 위해 httpie나 포스트맨을 이용하게 된다. 이 때 최소 수분은 걸리게 되는데 유닛테스트를 이용하면 수초만에 테스트가 끝난다. 또한 Integration 테스트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돌려야 하고 메모리가 유닛 테스트보다 더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더 큰 비용을 소비하게 된다.
Google Test Automation Conference에서 제안된 테스트 피라미드이다. UI Testing은 10%, Integrating Test는 20%, Unit Test는 70%로 전체 테스트 coverage를 구현하는 것을 권장한다.
크롬 브라우저를 띄운 다음에 내가 만든 검색 페이지로 들어가서 검색을 해보고 검색한 내용이 제대로 나오는지 화면 상에서 확인하거나 직접 회원가입을 해보고 회원가입 후에 로그인이 되는지 직접 브라우저 상에서 값을 입력해서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최소 두 개 이상의 클래스 또는 서브 시스템의 결합을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장고로 서버를 띄우고 모델 클래스와 결합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 연동한 테스트이다. Postman 또는 httpie로 호출해서 JsonResponse가 제대로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내가 작성한 코드의 가장 작은 단위인 함수를 테스트하는 메소드를 뜻한다.
이중 UI Testing이 가장 어렵고 까다롭다.
Manual Testing은 실행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부정확하고 실행 시간이 오래 걸린다.
자동화 할 수 있지만 UI Testing은 자동화 하기가 가장 까다롭고 또 실행하기도 까다롭다.
Integration Testing이 그 다음으로 수고가 많다.
Unit Testing이 가장 쉽고 효과가 좋다.
다른 테스트보다 테스트 비용이 저렴하다. 왜냐하면 Ui Test는 백엔드 서버와 프론트를 연동하여 사람이 직접 테스트하지만, 유닛 테스트는 사람이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한꺼번에 자동으로 실행하기 때문이다.
유닛 테스트는 다른 테스트에 비해 실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그래서 유닛 테스트를 활용하면 하루에도 여러 번 배포를 할 수 있어 개발 및 배포 속도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개발할 때 최대한 활용하는 게 좋다.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때 유닛 테스트를 잘 작성해 놓으면 중장기적으로 유지 보수가 쉬운 장점이 있다. 즉 이전에 통과했던 테스트 집합을 가지고 버그를 찾기 위해서 이전에 테스트되었던 유닛 테스트를 반복하는 것을 regression 테스트라고 하는데 유닛테스트만 반복하면 되기 때문에 regression 테스트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유닛 테스트를 잘 짜놓으면 유닛 테스트가 되었던 코드에서 버그가 거의 발견되지 않고 대부분 버그가 발견되는 경우는 유닛테스트가 없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만약 사후에 발견된 버그에 대해서도 버그를 수정한 후 유닛테스트를 작성해놓으면 버그를 방지할 수 있다.
Unit Test를 구현할 때 지켜야 하는 일반적인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테스트 유닛은 각 기능의 가장 작은 단위에 집중하여, 해당 기능이 정확히 동작하는지를 증명해야 한다.
각 테스트 유닛은 반드시 독립적이어야 한다. 각 테스트는 혼자서도 실행 가능해야 하고, 테스트 슈트로도 실행 가능해야 한다. 이 때 호출되는 순서와 무관하게 잘 작동해야 한다. 이 규칙이 뜻하는 바는 새로운 데이터셋으로 각각의 테스트를 로딩해야 하고, 그 실행 결과는 꼭 삭제되어야 한다. 보통 setUp()과 tearDown() 메소드로 이런 작업을 한다.
테스트가 빠르게 돌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테스트 하나가 실행되는데 몇 밀리세컨드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면, 개발 속도가 느려지거나 테스트가 충분히 자주 수행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테스트에 필요한 데이터 구조가 너무 복잡하고, 테스트를 하려면 매번 복잡한 데이터를 불러와야 해서 테스트를 빠르게 만들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무거운 테스트는 따로 분리하여 별도의 테스트 슈트를 만들어 두고 스케줄 작업을 걸어두면 된다. 그리고 그 외 다른 모든 테스트는 필요한 만큼 자주 수행하면 된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툴이 개별 테스트나 테스트 케이스를 어떻게 수행하는지 배워야 한다. 모듈 안에 들어있는 함수를 개발하고 있다면 그 함수의 테스트를 자주, 되도록 가능하다면 코드를 저장할 때마다 자동으로 돌려야 한다.
그 날의 코딩을 시작하기 전후에 항상 풀 테스트 슈트를 돌려야 한다. 이 작업은 다른 코드를 망가뜨리지 않았다는 더 큰 자신감을 줄 것이다.
모두 공유하는 저장소에다가 코드를 집어넣기 전에 자동으로 모든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하는 훅을 구현하는 것이 좋다.
지금 한창 개발 중인데 그만두고 잠시 다른 일을 해야한다면, 다음에 개발할 부분에다가 일부러 고장난 유닛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생각이다.(아마 잊지 않기 위한 용도!? 상기 시키기 위해!?)
코드를 디버깅할 때 가장 먼저 시작할 일은 버그를 찝어내는 새로운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다. 이런 일이 언제나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이런 버그를 잡는 테스트들이야말로 프로젝트에 가장 가치있는 코드이다.
테스트 함수에는 길고 서술적인 이름을 사용해야 한다. 테스트에서의 스타일 안내서는 짧은 이름을 보다 선호하는 다른 일반적인 코드와는 조금 다르다. 테스트 함수는 절대 직접 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돌아가는 코드에서는 square()이라든가 심지어 sqr()조차도 괜찮지만 테스트 코드에서는 test_square_of_number_2(), test_square_negative_number()와 같은 이름을 붙여야 한다. 이런 함수명은 테스트가 실패할 때나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가능한 한 서술적인 이름으로 선언해야한다.
테스트 코드의 또다른 사용 방법은 새로운 개발자들을 위한 안내서로 쓰는 방법이다. 이미 만들어져 있는 코드에서 작업해야할 경우, 관련 테스트 코드를 돌려보고 읽어보는 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시작점일 경우가 많다. 이렇게 테스트 코드를 돌려보면 어느 지점이 문제인지, 수정하기 어려운 곳은 어디일지, 막다른 골목은 어디일지를 발견하게 된다. 몇 가지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그 새로운 기능이 아직 돌아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를 붙여넣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