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P 겨울방학 프로젝트 | GitHub Projects 설정

유재우·2022년 2월 7일
0

Projects란

프로젝트는 작업 현황과 진행도를 볼 수 있는 메뉴이다.
Issues, PR(Pull Request)들을 하나의 작업으로 구분해 그 작업이 현재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Projects에는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3가지 종류가 있다.

- To Do : 해야 할 작업
- In Progress : 진행 중인 작업 
- Done : 완료된 작업

이것을 통해 프로젝트의 진행상황을 한번에 파악하기가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프로젝트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을 추적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본 이후에 어떤 일이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방법

  • 우선 Projects탭에 들어가 New project를 누른다.

  • 이런식으로 프로젝트 보드의 이름과 설명을 작성하고 템플릿을 지정한다.

  • 템플릿의 종류
None : 아무 것도 없이 프로젝트만 생성하는 것이다.
Basic Kanban : To Do, In Progress, Done 이 생성된다.
Automated kanban : To Do, In Progress, Done이 생성된다. (위에와 다른 것은 자동화를 지원한다. 자동화가 무엇인지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Automated kanban with reviews : To Do, In Progress, Review In Progress, Reviewer Approved Done 이 생성된다.
Bug triage : Needs triage, High priority, Low priority, Close가 생성이 된다.

  • Automated kanban를 체크하고 만든 모습

To do

- 새로 추가 되는 모든 이슈가 해당(해야할 것, 새로운 기능 추가, 기능 수정 등등)
- 새로 추가 되는 모든 PR이 해당

In Progress

- 작업이 진행중 이라는 것을 의미
- 새로 열린 모든 PR이 해당
- 새로 열린 모든 이슈가 해당

Done

- 이슈가 Close되면 해당
- Merge가 된 PR이 해당

만약 새로운 이슈를 만들었다면 To do에 해당되기 때문에 이슈가 To do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슈가 close가 되면 자동으로 Done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Project를 통해서 프로젝트의 진행을 한 눈에 보기 쉽다.


  • 진행중인 Issue이기 때문에 In progress에 옮겨준다.

  • 앞서 작성했던 Issue는 프로젝트까지 만들었으므로 다 완성한 Issue이다.
    다 완료한 Issue는 Close를 해준다.

  • Close를 한 모습

  • Close를 하고 Projects에 가보면 자동으로 Done으로 옮겨져있는 모습을 볼 수있다.

  • Milestones도 확인해보면 100%로 수치가 바뀐걸 볼 수있다.

  • 이 내용을 토대로 앞으로 만들 앱을 관리하면 더욱 편리하고 진행상황을 한눈에 볼 수있어 편할것 같다.


참고한 블로그

profile
끝없이 탐구하는 iOS 개발자 유재우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