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7일에 합격자 발표가 나왔는데 부대 일정, 해커톤 일정이 빡빡했다보니 이제 쓰는 후기ㅎ;
그래서 주어진 기회를 잡기 위해 나름대로 최선을 다해서 준비했다.
국방오픈소스아카데미(OSAM)에서 제공하는 교육을 열심히 수강하고, 코딩테스트는 혼자 나름대로 열심히 준비하기
OSAM에서 제공해주는 교육(인터넷 강의)를 열심히 듣고, 필기하여 기간 내에 시험을 완료하면 된다.
시험은 교육 내용과 기초적인 분야 별 질문을 바탕으로 문제 구성이 되어 있다.
오픈북이나 다름없으므로 여러 부분을 참고하여 문제를 해결하면 된다.
문항 별로 난이도가 다르긴 하지만 어려운 문제는 없었다!
해커톤 참여를 희망한다면 온라인 평가 부분에서 점수가 많이 감점되지 않아야 할 것 같다.
이번에 쳐본 코딩테스트가 나의 첫 코딩테스트였다.
내 프로그래밍 경험은 대학에서 수강한 C, JAVA, 자료구조(C++) 뿐이었다ㅠㅠ
게다가 자료구조(C++)는 미뤄뒀기 때문에 자료구조, 알고리즘 지식은 전무했었다.
긴장을 많이 했고, 나름대로 준비도 많이 했다.
현재 나의 지식 상태로는 코딩테스트를 한 문제도 풀지 못할 것이라고 확신했다.
20년도부터 코딩테스트 난이도가 올라갔다고도 들었고, 자료구조/알고리즘 지식이 많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급한대로 인강이라도 들었다. (it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with C/C++) : 코딩테스트 대비)
초반에는 C++을 통해 문제를 구현하는데도 버벅거렸다. 이론 평가 준비를 하면서 꾸준하게 인강 문제, 프로그래머스 문제를 풀었다.
시간이 충분하지는 않았어서, 자료구조/알고리즘 지식은 공부를 열심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많이 부족한 감이 있었다(자료구조 열심히 들을 걸 ㅠㅠ.. 이후, K-MOOC이나 사설 인강을 통해서 자료구조/알고리즘은 꼭 정복해야겠다고 다짐했다ㅋㅋㅋㅋ).
그래도 특훈(?)이 효과는 있었다. 문제 해결을 위한 "코드 구현"에는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이다.
코딩테스트는 4문제가 나왔던 것으로 기억한다. 프로그래머스 사이트를 통해서 진행되었는데, 나에게는 정말 어려웠다.
문제를 보자마자 어떻게 구현해야 될지 파악을 하고, 바로 코드를 짰다. 문제 예시와 여러 경우에 대한 구현은 했는데, 시간복잡도에서 계속 불합격이 떠서 멘붕이 왔다ㅋ큐ㅠㅠ
1번 문제만 해결했고, 2, 3번(나머지 문제는 힐끗 보고 안 될 것 같아서 버림) 문제는 구현을 모두 완료했는데, 다 시간 복잡도로 인해 불합격이 떴다..
결국 1번 문제를 제외하고는 문제에 대한 부분 점수만 획득하고, 코딩테스트는 망했구나 싶었다.
선택한 분야에 대한 군 관련 프로젝트 계획서를 작성하면 된다.
내가 작성한 개발 계획서는 링크(개발계획서)와 같다.
+) 해커톤 참여에 합격하게 되면 다른 분들의 개발계획서를 열람할 수 있는데, 다른 분들의 아이디어를 보는 것만으로도 해커톤 프로젝트가 기대됐다.
2022년 9월 7일에 합격자 발표가 나왔다.
휴가를 나가서도 공부할 정도로 해커톤 참가를 진심으로 희망했었다.ㅋㅋㅋㅋ ㅠㅠ
코딩테스트로 인해 불합격할 줄 알았는데, 합격해서 정말 기뻤다!!!
이번 2023 국방오픈소스 해커톤에 참여할려고하는데
osam사이트가 https://osam.goorm.io/ 와https://osam.kr/home 두가지가 있는데 어디서 필수강의를 수강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