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 파라미터화 (behavior parameterization) 동작 파라미터화 : 아직 어떻게 실행할 지 결정되지 않은 코드 블록을 의미. 나중에 프로그램에서 호출된다. 즉 실행이 나중으로 미뤄짐. behavior를 파라미터리제이션 한 것! 자주 바뀌는 요구사항에


Record란? 불변(immutable) 데이터 객체를 쉽게 생설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유형의 클래스 JDK 14에서 등장, 16에서 정식 스펙으로 포함. 자바 불변 객체 (Immutable Object) 객체 지향에서 불변 객체란 생성 후 그 상태 바꿀 수 없는 객체 말함. 재할당 가능하지만, 한번 할당하면 내부 데이터 변경 불가능한 객체. S...

Redis : Remote(외부) dictionary(HashMap 자료구조 key-value) server Cache : 나중의 요청에 대한 결과 미리 저장했다가 빠르게 사용하는 것. 메모리 계층 위로 갈수록 빠르고 비쌈 아래로 갈수록 느리고 저렴 Main
First Class Object (일급 객체) 일급 객체 :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 first class : 다른 객체들과 동등하게 다뤄지는 것 의미 자바에서 Integer, String등은 모두 일급 객체 자바에서 함수

자바는 Call By Value 방식으로 동작한다.Call By Value와 Call By Reference는 메서드 호출 시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방식이다.Call By Value는 값을 그대로 복사해서 넘겨주는 것이고, Call By Reference는 참조(주소)를

다중 상속 자바는 다중 상속을 허용하지 않는다. Father와 Mother 클래스가 Person 클래스를 extends 했고, 추상 메서드 funcA를 각각 구현했다. Child가 Father와 Mother를 둘 다 extends 한다면, Child.funcA()는

Q. Animal 클래스를 상속받아 만든 Bird 클래스가 있다. move()는 Animal과 Bird 모두 갖고있고, fly()는 Bird만 갖고있다. 코드 1은 동작하고, 코드 2는 동작하지 않는데 언제 이 형태를 사용하는게 좋을까? 어떤 방식으로 사용해야 할까? Bird bird1 = new Bird(); 의 경우 한눈에 이해가 된다. 하지만 Ani...

OCP는 구성 요소가 자신의 확장에는 열려있고, 주변의 변화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즉, 기능 변경/수정할 때 기존 코드를 고치지 않고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이다.행위(동작) == 전략을 클래스로 캡슐화해 동적으로 선택, 교체할 수 있게 하는 디자인 패
세 패턴 모두 "유사한 알고리즘 구조를 갖고, 일부 행동은 나중에 결정한다"는 공통점 갖고 있는 패턴이다. 1. 템플릿 메서드 패턴 핵심 : 상속으로 공통 알고리즘 틀 정하고, 일부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구성 방식 : 상속 기반 키워드 : 고정된 틀, 재정의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