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차 멘토링 정리

👇 오프라인 회의 정리

As Is To Be는 현재 상태(As Is)와 목표 상태(To Be)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비즈니스 분석 기법입니다. 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시스템 구축, 조직 개편 등의 프로젝트에서 활용됩니다.
현재 상태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기술합니다.
포함 요소:
작성 팁:
개선 후 달성하고자 하는 이상적인 상태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포함 요소:
작성 팁:
As Is와 To Be 사이의 차이점을 분석합니다.
분석 영역:
| 구분 | As Is (현재) | To Be (목표) | Gap (차이점) |
|---|---|---|---|
| 프로세스 | 수동 승인 프로세스 • 서류 검토: 3일 • 승인 대기: 5일 • 총 소요시간: 8일 | 자동화된 승인 시스템 • 자동 검토: 1시간 • 즉시 승인: 1일 • 총 소요시간: 1일 | • 자동화 시스템 도입 • 7일 단축 • 효율성 87.5% 개선 |
| 인력 | • 승인자 5명 필요 • 수동 검토 작업 • 반복 업무 多 | • 승인자 2명 • 예외 케이스만 검토 • 전략 업무 집중 | • 3명 인력 재배치 • 업무 성격 변화 • 생산성 향상 |
| 시스템 | • Excel 기반 관리 • 이메일 승인 • 수동 데이터 입력 | • 통합 ERP 시스템 • 자동 워크플로우 • API 연동 | • ERP 시스템 구축 • 워크플로우 엔진 • 시스템 통합 |
| 비용 | • 월 운영비: 500만원 • 인건비: 1,000만원 | • 월 운영비: 200만원 • 인건비: 600만원 • 시스템 구축비: 5,000만원 | • 월 700만원 절감 • 초기 투자 필요 • ROI: 7개월 |
| 지표 | 현재 (As Is) | 목표 (To Be) | 개선율 | 측정 방법 |
|---|---|---|---|---|
| 처리 시간 | 평균 8일 | 평균 1일 | 87.5% 단축 | 시스템 로그 분석 |
| 오류율 | 5% | 1% | 80% 감소 | 월별 오류 건수 집계 |
| 고객 만족도 | 3.2/5점 | 4.5/5점 | 40% 향상 | 분기별 설문조사 |
| 운영 비용 | 월 1,500만원 | 월 800만원 | 47% 절감 | 월별 비용 분석 |
| 직원 만족도 | 2.8/5점 | 4.0/5점 | 43% 향상 | 반기별 직원 설문 |
| 단계 | 기간 | 주요 활동 | 담당 부서 | 예상 비용 | 리스크 |
|---|---|---|---|---|---|
| 1단계: 분석 | 1-2개월 | • 현황 분석 • 요구사항 정의 • 벤더 선정 | IT팀, 기획팀 | 500만원 | • 요구사항 변경 • 일정 지연 |
| 2단계: 설계 | 2-3개월 | • 시스템 설계 • 프로세스 설계 • 테스트 계획 | IT팀, 해당 부서 | 1,500만원 | • 설계 복잡도 • 승인 지연 |
| 3단계: 개발 | 3-4개월 | • 시스템 개발 • 통합 테스트 • 사용자 교육 | IT팀, 외부업체 | 2,500만원 | • 기술적 이슈 • 품질 문제 |
| 4단계: 배포 | 1개월 | • 시범 운영 • 전면 배포 • 안정화 | 전 부서 | 500만원 | • 사용자 적응 • 시스템 안정성 |
(지난주와 과제 요구사항은 유사하지만, 여러 painpoint 중 메인 painpoint를 정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주 2회 회의(팀원 회의, 멘토님 회의)를 거치면서 기획에 대해서 더 많이 알아갈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구체적인 근거와 데이터에 기반한 문제 정의가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체감하였고, 영상 분석 및 문제 정의부터 시작하여 As is To be 문서 작성, 그리고 프로세스 가시화까지 진행한 점에서 문제 상황과 해결책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문제 해결의 효과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한 부분도 있었지만, 멘토님의 피드백과 여러 영상 자료들을 참고하면서 측정 방법과 이를 가시화할 방안을 찾아가면서 점점 프로젝트의 전체 구조가 잡히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번주부터는 바이브코딩를 학습하고, 역할분담을 통해 나눠진 UI구현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5주차 회고록으로 다시 찾아오겠습니다 ~~~ !

*본 후기는 [웅진씽크빅X스코프랩스] AI를 활용한 DT 기획자 과정(Blog) 리뷰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