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nkins의 홈 디렉토리 경로를 표시하며, 기본적으로 Jenkins가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로입니다. 빌드 아티팩트, 설정 파일, 로그 파일 등이 여기에 저장됩니다.
Linux에서는 /var/lib/jenkins, Windows에서는 C:\Program Files\Jenkins가 기본 경로로 설정됩니다.
보통 변경할 필요는 없지만, 필요한 경우 다른 디렉토리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 시 데이터 이동을 수동으로 해야 합니다.
프로젝트 생성과 설정은 아래의 private repository 연동을 보시면 됩니다. 다만, 참고내용 중 TestConnection 관련 부분은 프로젝트 생성한 후에 프로젝트 설정해서 하게끔 변경된 것으로 보여져서 해당 부분 참고해서 작업을 해주시면 됩니다.
프로젝트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테스트 빌드 시 아래와 같이 성공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번에서 확인한 홈 디렉토리의 workspace로 이동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테스트로 빌드했던 소스가 있는것을 알 수 있다.

스크립트 작성시 npm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node.js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npm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설치를 해야합니다. 터미널에서 node -v와 npm -v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apt install nodejs npm
위의 방법 말고도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Build Steps 옵션에 아래의 명령어를 추가하여 빌드 후에 npm run build 명령어가 수행될 수 있게 합니다.
# 빌드 처리
cd /var/lib/jenkins/workspace/FC_VERANO_WEB
npm install --force
그 후에 젠킨스 플러그인 중에 Post build task를 검색하여 다운받아 줍니다.
Post build task가 빌드 후 조치에서 후처리를 할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으로 빌드 후에 기존에 있던 dist 폴더를 삭제하고 새로운 dist폴더가 생성되게 해줍니다.

# 빌드 후 처리
rm -rf /var/lib/jenkins/workspace/FC_VERANO_WEB/dist &
npm run build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