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내에 있는 파일을 공유 또는 서버, 서비스 이중화 구성할 때 사용을 한다.
CIFS는 주로 Windows 파일 공유 및 네트워크 리소스 공유에 사용되고, 다양한 운영 체제 간에 파일 및 리소스 공유를 지원한다. (예를 들어, Windows, Linux, macOS 등에서 모두 사용)
1. cifs mount //NETAPP/testABC/xxx /home/kbn cifs username=ABCad\kbn,password=test,dir_mode=0777,file_mode=0666 0 0 //NETAPP/testABC /mnt2 cifs username=ABCad\open,password=test,dir_mode=0777,file_mode=0666 0 0 2. cifs mount (8200장비) //NETAPP/testABC /mnt2 cifs username=testABC,password=test,domain=ABCad,dir_mode=0777,file_mode=0666 0 0 3. 버전별 CIFS #### RHEL 6버전 //NETAPP/testABC /test cifs ro,username=ABC,password=test,domain=ABCad,vers=1.0 0 0 #### RHEL 7버전 //NETAPP/testABC /mnt cifs username=ABC,password=test,domain=ABCad,vers=1.0 0 0 //NETAPP/test /test cifs username=ABC,password=ABC,domain=ABCAD,dir_mode=0777,file_mode=0777,vers=1.0 0 0 #### 명령 및 옵션 지정 [root@ServerA]# mount -t cifs -o username=root,password=1234,codepage=cp949,iocharset=euc-kr,uid=UserID,gid=GroupID,file_mode=0644,dir_mode=0755 \\192.168.1.11/ShareDir /mountDir [root@ServerA]# df –h [root@ServerA]# umount //192.168.1.11/mountDir #### mount 옵션 설명 - username=root (사용자계정 입력) - password=1234 (공유폴더에 설정된 암호임력) - uid=UserID (일반계정ID) - gid=GroupID (그룹ID) - file_mode=0644 (파일사용 권한 rw-r--r--) - dir_mode=0755 (디렉토리 접근 권한 rwxr-xr-x)
CIFS 마운트 할 때 주의점은 사용자 계정 정보와 도메인 입력이다. 정확하게 맞는지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본인 PC에 한 번 마운트 해보고 작업하는 것도 좋은 선택이다.
NETAPP:/testABC /test nfs intr,bg,tcp,soft,rsize=32768,wsize=32768 0 0 intr: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이 중단되었을 때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대신에 해당 시스템 호출을 중단합니다. bg: 백그라운드 마운트. 마운트가 실패하더라도 시스템 부팅을 차단하지 않습니다. tcp: TC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soft: 소프트 마운트. 마운트가 실패하면 I/O 작업이 실패합니다. rsize=32768: 읽기 요청의 크기를 32KB로 설정합니다. wsize=32768: 쓰기 요청의 크기를 32KB로 설정합니다.
NFS는 UNIX 및 UNIX 기반 시스템에서 파일 및 리소스를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주로 UNIX 및 Linux 시스템 간에 파일 공유에 사용한다.
즉, NFS는 주로 UNIX 및 Linux 시스템 간에 파일을 공유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CIFS는 주로 Windows 시스템 및 다양한 운영 체제 간에 파일 및 리소스를 공유하는 데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