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블챌#14. 리멤버 유저에게 보다 깨끗한 명함 이미지 제공을 위한 이미지 복원 방법

MUUU·2024년 6월 10일
0

데블챌

목록 보기
14/14

리멤버 유저에게 보다 깨끗한 명함 이미지 제공을 위한 이미지 복원 방법:
https://blog.dramancompany.com/2022/11/%eb%a6%ac%eb%a9%a4%eb%b2%84-%ec%9c%a0%ec%a0%80%ec%97%90%ea%b2%8c-%eb%b3%b4%eb%8b%a4-%ea%b9%a8%eb%81%97%ed%95%9c-%eb%aa%85%ed%95%a8-%ec%9d%b4%eb%af%b8%ec%a7%80-%ec%a0%9c%ea%b3%b5%ec%9d%84-%ec%9c%84/

😈 데이터블로그 챌린지 14일차😈 입니다.
명함 서비스 회사인 리멤버에서 어떻게 명함을 고화질로 복원하는지에 대한 아티클을 읽었습니다. 고해상도 이미지 복원을 위한 task 분야 및 잘 알려진 딥러닝 이미지모델에 대해 소개합니다.


요약

  • 명함이미지를 촬영할때 촬영 환경의 조도, 빛반사, 명함 오염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서 이미지 복원이 필요성이 존재함

  • 고해상도, 노이즈제거, 블러제거, 인페인팅 등에 대한 task를 해결해야함

  • 딥러닝 기반 이미지 모델들에 대한 추가설명. 각 task별 SOTA 논문도 소개
    (Super-Resolution, Denoising Task:swinIR,
    Denoising, Deblurring Task: NAFNet )

  • 내 생각: 지난번 어도비의 generative fill과 더불어 고해상도 이미지복원에 대한 추가 궁금점이 있었는데 , 해당분야에 대한 task 및 다양한 딥러닝 모델에 대한 설명을 통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내용

  • 리멤버 유저들은 주고받은 명함을 직접 촬영하여 등록하는 시스템
    => 밝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명함을 촬영하니 다양한 후처리가 필요함

명함 이미지 복원의 필요성

  1. 명함 촬영시 배경을 잘라내고 명함만 확대하므로, 저해상도로 보이는 문제가 있어 고해상도로 복원해야함
  2. 주변환경이나 카메라 성능에 따라 명함을 촬영한 이미지에 노이즈가 내포됨.
  3. 명함자체가 오염되거나 손으로 잡고 찍은 부분이 반영됨. 오염된 명함을 깨끗하네 복원할 필요가 있음

이미지 복원 태스크

  • Super-Resolution:
    저해상도를 고해상도로 변환
  • Denoising, Deblurring: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

  • Inpainting:
    오래된 사진 또는 화질이 번진 이미지에서 이미지를 복구하는 것

전통적 이미지복원

  • Super-Resolution
    : 전통적으로 Interpolation을 사용함. ( 알고있는 두 지점 사이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
    => Bilinear interpolation, Bicubic interpolation ( 2차원으로 확장해 super resolution을 적용하여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해상도 이미지로 변환시켜줌)
    => Nearest, Area, Lanczos 존재 ( Lanczos가 좀 더 선명함)

  • interpolation은 openCV에서 이미지 사이즈를 축소,확대할 때 사용하는 방법이라 super resolution으로 부르기에 애매한 부분이 존재함

  • Denoising
    : 필터링을 이용해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
    => Gaussian, Bilateral, Median filtering, Non-Local means filtering 등이 존재

1) Gaussian filtering : 현 픽셀값과 이웃 픽셀 값들의 가중 평균을 이용해 현재 픽셀 값을 교체하는 방법
2) Bilateral filtering : 가우시안 필터링의 보완방법. Edge 정보를 보존하면서 노이즈를 제거함
3) Non-Local means filtering[1] : Bilateral Filtering 을 보완한 방법. 주변 픽셀을 patch로 잘라내어 패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함

  • Inpainting
    : 이미지의 손상,열화 누락된, 가려진, 보이지 않는 부부을 채워 완전한 이미지를 복원, 생성하는 것( patch 기반, diffusion 기반이 존재함)

1) Patch 기반: 손상되지 않는 부분에서 가장 일치하는 후보 패치를 찾아 손상된 위치에서 복사.
2) diffusion 기반: 이미지 컨텐츠에서 누락된 영역의 경계로부터 시작하여 누락된 영역 내부로 점차 채워가는 방식

딥러닝 기반 이미지 복원방법

  • SRCNN[2]
    : 지도학습 모델이며, 저해상도 이미지와 고해상도 정답 이미지를 제공 후, 모델이 변환한 고해상도 이미지와 정답 이미지 간의 차이를 좁히도록 학습하는 모델
  • DnCNN[3]
    :정답 이미지에 Noise를 입혀 Noisy image를 생성하고 CNN 네트워크를 통해 Residual Image를 생성한 다음 정답 이미지와 평균제곱오차(MSE) 계산을 통해 차이를 학습하는 모델
  • SRGAN[4]
    : generator는 저해상도 이미지를 고해상도 이미지로 만들고, Discriminator가 생성된 고해상도 이미지와 정답 고해상도 이미지를 판별하며, 진짜를 가려내는 학습을 진행하는 구조의 모
  • SwinIR[5]
    : Super-Resolution, Denoising Task에 대한 SOTA 모델(2021년)

  • NAFNet[6]
    :UNet[7] 모델 구조를 채택하여 Gated Linear Unit을 활용해 비선형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지 않고 Denoising, Deblurring Task를 해결하는 논문이며, Denoising, Deblurring Task에서 SOTA 모델

profile
데이터분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