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ACLE] WHAT IS ORACLE, SQL

privatekim·2024년 6월 15일
0

ORACLE

목록 보기
5/38

주의 본 내용을 수업 중 내용을 반영한 것으로 모든 정보를 담고있지 않습니다.

Oracle

오라클은 자바 설치하면서 한번 쯤 본 기억이 있을 것이다. 오라클은 엄밀히 말해 회사 이름이고 우리는 앞으로 이 회사에서 제공하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예정이다.

Oracle version

오라클의 데이터베이스는 현재(2024.06.15) oracle 23ai 버전까지 출력되어있으며 현장에서는 11g와 19c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때 뒤에 붙는 문자로는 g, c, ai ,i가 있는데 각각 grid, cloud computing, grid computing, artificial intelligence를 의미한다.

현재 오라클은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표준인 SQL 사용중이다.

SQL

SQL은 Structured Query Language(구조화된 질의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이다. SQL은 Oracle 뿐만 아니라 MSSQL, MYSQL, 등 모든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고 있어 데이터베이스 공통언어라고 할 수 있겠다.

SQL 종류

SQL문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DQL (Data Query Language)
  • TCL (Transaction Control Language)
  • DML (Data Manipulation Language)
  •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 DCL (Data Control Language)

DQL

데이터를 조회하는 명령어로 효율적으로 조회하는 것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TCL

Transaction은 거래라는 뜻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가 수정된 내역들의 모음이다.
TCL은 이를 컨트롤하는 언어로 (COMMIT, ROLLBACK, SAVEPOINT)이 있다.

DML

데이터들을 수정하는 역할과 관련된 명령어들로 삽입(insert), 삭제(delete), 수정(update), 병합(merge)의 명령어가 존재한다.

DDL

데이터들을 정의하는 명령어로 다음과 같은 명령어가 있다.
CREATE, ALTER, DROP, TRUNCATE(행 제한), RENAME(이름수정), COMMENT(칼럼설명추가)

DCL

저장된 데이터들에 대해 규칙(권한)을 제어하는 명령어로 GRANT(위임), REVOKE(권한 제거)가 있다.

SQL 작성시 주의 점(규칙)

  1. SQL문은 대소문자 구분 X
    하지만 성능의 관점에서 대소문자 구분해서 수행해야함(키워드 대문자 나머지 소문자). 대소문자 혼용시 같은 명령어로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자원 소모가 커진다.(실행 계획을 따로 만들어야 한다)

  2. 소유하고 있는 DB(소유자)의 이름 명시해야 함

  3. 공백문자 구분한다. 1의 이유와 같다. 단 결과는 같다.

SELECT e_id, e_name FROM hr.employees;
SELECT e_id,e_name FROM hr.employees;
  1. tab, enter key 구분한다. 단 결과는 같다. 보편적으로 서로 다른 절은 다음 절로 작성한다.
SELECT e_id, e_name FROM hr.employees;
SELECT e_id, e_name
FROM hr.employees;(권장)
  1. 주석 처리를 잘 하자 -- or /* */

6.SQL 마무리는 세미콜론(;)으로 마무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