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gf.log
로그인
bongf.log
로그인
210312 금 TIL
bongf
·
2021년 3월 12일
팔로우
0
TIL
0
TIL
목록 보기
16/40
✔ Done
호눅스 목요일 수업 일부 복습
return과 redirect, forward의 차이에 대해 복습했다. 조금 더 공부해야 할 것 같다.
survlet이 무엇인지 복습했다. 또 프레디의 도움으로 서블릿이 어떤 일을 하는지 간략히 알 수 있었다.
스프링 부트가 돌아가는 원리를 조금은 알 수 있었다.
📂 Feeling
학원에 갔다 오기가 힘들어서 집중을 많이 못했는데, 히로가 보내준 브라이언 영상을 보다가 김포에서도 다녔다는 영상을 보고.. 반성했다. 체력을 길러야겠다.
Good
Bad
공부를 즐기면서 하고 있기는 한데.. 약간 여유롭게 하는 분위기다. 하다가 이것도 찾아보고 저것도 찾아보고. 좀 더 촘촘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 Learned
코드스쿼드 미션에서 배웠던 내용은
여기에
따로 추가로 학습한 내용은 아래에
1) WebMvcConfigurer
1-1) 문제사항
users/login에 getMapping을 WebMvcConfigurer로 걸어놓고
view에서 같은 경로로 PostMapping을 해줬다. 그러나 url이 POST에 안걸리고 관련 Mapping이 없다는 이유가 계속 떴다.
1-2) 이유
프레디가 이유를 알려줬다.
WebMvcConfigurer에서 주소를 먼저 가져온다음 거기에 POST있는지 없는지 찾는 과정일 거라고 추론
여기서 우선순위가 걸려서
디버그를 하면
여기서 걸린다.
잘 모르겠지만.. 여기 어디서.. .... 찾았다. 우선 handler가 맨 위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키워드 handlerMappig 더 학습 필요
1-3) 관련해서 공부한 내용 : 스프링 기본
출처
https://jess-m.tistory.com/15
이 그림에서 Front controller는 DispatcherServlet인데
DispatcherServelet이 Controllerd에서 model을 받고 가공하여 view에 전달하는 등의 역할을 다 이 친구가 하는 것이다.
프레디 왈, 스프링의 핵심이다.
2) HttpSession
2-1) 왜학습?
미션 구현 과정 중에 HttpSession에 로그인 정보를 추가하라는 부분이 있었다.
HtppSession이 무엇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아 학습했다.
2-2) 세션이란?
일시적이고 상호작용적인 정보 교환 ( 2개 이상의 디바이스나 컴퓨터나 user사이에서)
위키피디아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804209/what-are-sessions-how-do-they-work
로그인 같은 것은 user data를 저장해야 할 필요가 있겠지
그런데 HTTP는 무상태 프로토콜
그 대안으로 Cookies와 URL 파라미터 : 둘 다 2개 이상의 request에 대해서 data전달 방식
그러나 그 정보가 client 쪽에서 readable이나 editable하지 않게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 == 클라이언트 쪽에서 read, edit 가능 하다는 얘기 인 것 같다 )
solution. http 세션이다.
간단히 말해서 서버에서 ( x client) 데이터를 저장하고 "id"를 부여
그리고 클라이언트가 그 "id"만 알게 만들어.
그리고 그 id로 소통하는 방식
쿠기와 세션의 차이
1)
https://doooyeon.github.io/2018/09/10/cookie-and-session.html
2)
https://chrisjune-13837.medium.com/web-%EC%BF%A0%ED%82%A4-%EC%84%B8%EC%85%98%EC%9D%B4%EB%9E%80-aa6bcb327582
bongf
spring, java학습
팔로우
이전 포스트
210311 목 TIL
다음 포스트
210313 토 TIL
0개의 댓글
댓글 작성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