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눅스 수업을 복습했다. (비공개다) https://velog.io/@bongf/codesquad-Exercise-210312-spirng-qna-3
- 수업을 복습하면서 서블릿 개념과 조금 더 친해졌다. 자바 코드 안에서 html을 생성하는 것이 서블릿이었고 이것을 서블릿 컨테이너가 처리해준다. 서블릿 컨테이너가 웹서버이자 톰캣이다. 이정도로만 이해했다.
- ec2가 서버라는 개념을 인스턴스 만들었던 것을 보면서 개념을 이해했다.
- 세션 클러스트링이 어떤 개념인지 왜 필요한지 이해했다. (세션 클러스트링이 있으면 로드 밸런서는 필요 없다)
-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의 개념에 대해서 이해했다. 인바운드는 바깥에서 내쪽으로 들어오는 것, 아웃 바운드는 내쪽에서 외부로 나가는 것, 아웃바운드를 열어 두지 않으면 인터넷이 안된다.
- ec2 서버를 만들고 루트 계정에 패스워드를 만들지 않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렇게 되면 키가 있어야만 들어올 수 있어 더 안전하다.
- s3와 ec2를 같이 쓰는? 방법을 이해했다. s3는 이미지나 동영상에 대한 url 값을 갖게 하는데 이를 ec2서버에서 웹페이지 만들 때 써서 웹사이트에 이 사진을 올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