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구조 중 하나로 해싱(Hashing)한 자료를 매핑(Mapping)하여 저장하는 방법
"키(Key)"와 "값(Value)"을 대응하여 저장
Hashing : 일정 계산식을 사용하여 특정한 결과를 나오게 하는 행위
clear()
해당 hashmap내에 요소들을 모두 제거
isEmpty()
해당 hashmap이 비어있는지 확인(empty : true)
containKey(key)
해당 hashmap에 key가 포함되는지 확인(contain : true)
containValue(value)
해당 hashmap에 value를 갖은 key가 있는지 확인(contain : true)
entrySet()
해당 hashmap에 모든 요소를 [key = value]형태로 반환
put(Key, value)
해당 hashmap에 key=value 쌍을 추가(key가 중복이면 나중에 들어온 value로 덮어쓰기)
get(key)
해당 hashmap에서 key에 해당하는 value 반환(없다면 null)
remove(key)
해당 hashmap에서 key가 있다면 해당 쌍을 삭제 및 value 반환
remove(key, value)
해당 hashmap에서 key=value 쌍을 삭제 true반환 (존재하지 않거나 쌍이 아니면 false)
replace(key,value1)
해당 hashmap에 [key=value]쌍을 [key=value1]로 변환후 value반환(실패시 null)
접근 : key값에 해당하는 value값을 찾아내는 연산 O(1)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
검색 : 연결리스트LinkedList를 모두 순회할수도 있으며 O(n)의 시간복잡도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