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배열 내장함수

뿌야·2022년 10월 17일
0

자바스크립트

목록 보기
4/24

배열 내장함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1) forEach: 배열의 모든 요소를 전달해주는 함수

const arr = [1,2,3,4];
arr.forEach((elm) => console.log(elm));

2) includes(): 해당 배열에 인자로 들어있는 값이 존재하는지 확인

const arr = [1,2,3,4];
let number = 3;
console.log(arr.includes(number));

3이 array에 있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므로 true를 반환한다.

3) indexOf(): 해당 배열에 어느 인덱스에 위치해있는지 확인

const arr = [1,2,3,4];
let number = 3;
console.log(arr.indexOf(number));

4) findIndex(): 해당 value값이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확인

const arr = [
  {color: "red"},
  {color: "black}
   ];
let number = 3;
   
console.log(arr.findIndex(elm) => elm.color ==="red"));

red는 index 0에 위치해있으므로, 0을 반환한다.

5) find() : 조건에 일치하는 element(요소)를 가져옴

const arr = [
  {color: "red"},
  {color: "black}
   ];
let number = 3;
   
const element = arr.find((elm) => {elm.color ==="red"});

console.log(element);

6) filter()

const arr = [
  {num: 1, color: "red"},
  {num: 2, color: "blue"},
  {num: 3, color: "black"},
  {num: 4, color: "red"}
  ];

console.log(arr.filter((elm) => elm.color==="blue"));

7) slice(): 특정 인덱스값 전까지 잘라 반환

const arr = [
  {num: 1, color: "red"},
  {num: 2, color: "blue"},
  {num: 3, color: "black"},
  {num: 4, color: "red"}
  ];

console.log(arr.slice(0, 2));

인덱스 0부터 인덱스 2전까지 자름. 즉 인덱스 0, 1에 해당하는 요소 반환

8) concat(): 배열 합치기

const arr1 = [
  {num: 1, color: "red"},
  {num: 2, color: "blue"}
  ];
const arr2 = [
  {num: 3, color: "red"},
  {num: 4, color: "blue"}
  ];

console.log(arr1.concat(arr2));

arr1 뒤로 arr2를 붙여 하나의 배열로 반환

9)sort(): 정렬

let numbers = [0,5,6,2,4];
const compare = (a,b) => {
  if(a>b){
    return 1;
  }
  if(a<b){
    return -1;
  }
  return 0;
};
numbers.sort(compare);
console.log(numbers);

numbers가 크기 순서대로 반환된다.
a와 b가 있을 때 a가 더 크면 a가 오른쪽으로 간다. b가 더 크면 a가 왼쪽으로 간다.

10) join()

const arr = ["사과", "과일"];
console.log(arr.join());

사과, 과일 이 출력된다.
사과와 과일 사이에 쉼표가 있는 것이 싫다면 arr.join(" ")로 수정해주면 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