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파이썬이 설치되어 있었다.
python --version
으로 파이썬 버전을 확인하여 3.X 버전이라면 실습을 따라갈 수 있다.
python
명령어로 파이썬 터미널에 입장한다.
구글 드라이브에서 제공하는 Colaboratory에서는 파이썬 코드와 텍스트를 번갈아 작성할 수 있어 매뉴얼이나 문서 작성에 용이하다.
import random
# Number
print(1.1)
print(1+1)
print(2-1)
print(2*2)
print(6/2)
print(pow(3,3))
print(3**3)
print(random.random())
숫자 타입은 기본적인 연산이 가능하다. 내장 함수가 다양하게 지원된다. 난수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random이라는 패키지를 포함해야 random.random()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 String
print('Hello')
print("Hello")
print('''Hello
World!''')
print(len('Hello!'))
print('Hell world!'.replace('Hell', 'Hello'))
String도 다른 언어와 유사하다.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모두 사용 가능하고 백틱의 경우에는 줄바꿈도 지원 가능하다. (하지만 나는 \n이 편하다.) 문자열 길이는 len() 함수로 가져올 수 있고, replace() 함수로 부분 치환도 가능하다.
import random
# List
member = ['bora', 'woni', 'nowlee']
print(member[0])
print(member[1])
print(member[2])
print(len(member))
print(random.choice(member))
score = [100, 200, 300]
print(sum(score))
List도 다른 데이터 타입과 마찬가지로 따로 선언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random 패키지 내의 random.choice() 함수는 배열에 포함된 요소 중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해준다. len() 함수와 마찬가지로 sum() 함수는 배열의 요소의 총합을 구한다.
a = 1
name = '보라'
print('안녕하세요, '+ name + '님,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print(f'안녕하세요, {name}님,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별도의 데이터 타입 선언 없이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출력문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는 +로 각각의 요소를 연결해줄 수도 있지만, f expression을 사용하면 f'{변수명}'으로 따로 + 기호와 작은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고 변수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a = int(input('가격 : '))
per = 0.1
vat = a * per
print(int(vat))
입력은 input() 함수로 받을 수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입력값은 String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숫자 타입으로 연산이 필요한 경우 float나 int로 캐스팅해줘야 한다.
PIP는 Python 관련 패키지 설치하는 시스템이다. Python을 설치할 때 대개는 기본적으로 같이 설치되는 듯하다.
pip install pandas
CLI에 pip 사용하여 pandas 패키지를 설치한 후 사용해보았다. csv 파일을 폴더에 포함하고 pandas를 사용해 읽어온 후 출력해본다.
import pandas
house = pandas.read_csv('boston_house_prices_dataset.csv')
print(house.describe())
print(house.head(1))
pandas.read_csv() 함수를 사용하면 해당 파일의 내용을 csv 형식대로 불러온다.
describe()는 파일 내용의 통계 정보를 가져오고, head(1)은 가장 첫 줄 한 줄만 불러온다.
요즘에는 지역 화폐나 선불 카드 등 할인 적용되는 카드가 많아 실제 사용 금액으로 가계부를 작성할 때 매번 계산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간단히 할인을 적용한 금액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았다.
print('할인 방식을 적용하여 실제 사용 금액을 계산하는 프로그램입니다.')
print('결제 방식에는 다음 안내를 보고 코드를 선택하여 입력해주세요.')
print('A : 선불 카드 충전 시 10% 할인을 제공하는 경우')
print('B : 선불 카드 충전 시 10% 캐시백, 혹은 포인트를 제공하는 경우')
paycode = input('결제 방식 : ')
cost = int(input('금액 : '))
if paycode == 'A':
realcost = cost * 9 / 10
if paycode == 'B':
realcost = cost * 10 / 11
print('실제 사용 금액 : ', int(realcost))
예를 들어, 10만원을 충전하면 1만원이 포인트 충전되어 11만원을 사용할 수 있는 선불 카드가 있고, 10만원을 충전하면 1만원이 할인되어 9만원만으로 10만원을 충전할 수 있는 선불 카드가 있다. 두 가지 방식을 나누어 계산 식을 적용해보았다.
코드를 입력하고 금액을 입력하면 실제 사용 금액이 출력된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코드 작성 시 줄바꿈이나 들여쓰기가 중요하지 않다. (가독성을 위한 점을 제외하면) 그런데 Python은 줄바꿈과 띄어쓰기, 들여쓰기로 명령을 구분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언어를 배우지 않고 입문하는 사람들은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나 다른 언어를 많이 해본 사람에게는 어색할 수 있다.
문법에 적응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 것 같다.
JavaScript와 비교하면서 코드를 작성해보니 다른 점이 눈에 보여 이해하기 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