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에서 스타일링 작업을 할 때 주로 styled-components를 사용했다그러나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던 것 같아서 이번 글이 styled-components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Tagged template literal을 사용하여
Heroku를 통해, express와 react로 만든 웹 페이지를 배포하였다 그 과정을 간단하게 기록하고자 한다 📎 https://velog.io/@recordboy/Express-React-연동-및-Heroku에-배포하기 이 블로그 글을 참고하고 또 참고하였
공공데이터포털을 이용하여 배포까지 해본 건 처음인데 정말 많이 우당탕탕거렸다🥺 (특히, CORS 에러가 나를 괴롭혔다) 제작 과정을 천천히 회상하며 제작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수많은 블로그 글을 보며 도움을 받았는데 나도 그 고마움을 보답하기
이전까지는 api key를 .env에서 관리하고,.gitignore를 통해 민감한 정보를 숨기는 것 자체에 초점을 맞췄었다문득 \*\*왜 REACT&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이것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환경 변수(環境 變數, 영어: environment variab
🍒 공공데이터 포털https://www.data.go.kr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두번째 프로젝트를 하다가 몇 가지 이슈들을 공유하면 좋을 것 같아서 작성해본다✔️프로젝트 세팅create-react-app, axio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 fontawesome>Docs>Reacthttps://fontawesome.com/v5.15/how-to-use/on-the-web/using-with/react위 링크로 들어가면 문서화가 잘되어있다😆그래도 과정을 정리해보자면 yarn을 통한 설치 예시
minus btn의 경우에는 0이 되면 더이상 count가 내려가지 않도록 만들었음JSJS ClassReact ClassReact H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