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일급 객체라고 부른다.
const increase = function (num) {
return ++num;
}
const decrease = function (num) {
return --num;
}
const predicates = { increase, decrease };
function makeCounter(predicate) {
let num = 0;
return function () {
num = predicate(num);
return num;
};
}
함수가 일급 객체라는 것은 함수를 객체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의미다. 따라서 함수를 값처럼 변수에 할당할 수 있고 프로퍼티 값이 될 수도 있다. 함수는 객체이지만 일반 객체와는 다르다. 일반 객체는 호출할 수 없지만 함수는 호출할 수 있다. 그리고 함수 객체는 일반 객체에는 없는 함수 고유의 프로퍼티를 소유한다.
함수는 객체이므로 프로퍼티를 소유할 수 있다. 함수 객체는 arguments, caller, length, name, prototype 프로퍼티를 갖는다.
arguments 객체는 함수 호출 시 전달된 인수(argument)들의 정보를 담고 있는 순회 가능한(iterable) 유사 배열 객체이며, 함수 내부에서 지역 변수처럼 사용된다. 파라미터와 인수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function multiply(x, y) {
console.log(arguments);
return x * y;
}
console.log(multiply()); // NaN
console.log(multiply(1)); // NaN
console.log(multiply(1, 2)); // 2
console.log(multiply(1, 2, 3)); // 2
arguments 객체는 배열형태로 파라미터를 받아오지만 실제 배열이 아닌 유사배열이기 때문에 배열 메서드를 사용할 수 없다. 배열 메서드를 사용하려면 Function.prototype.apply 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번거러움이 있기 때문에 ES6에서는 Rest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function sum(...args) {
return args.reduce((pre, cur) => pre + cur, 0);
}
console.log(sum(1, 2)); // 3
console.log(sum(1, 2, 3, 4, 5)); // 15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모든 객체는 [[Prototype]]
이라는 내부 슬롯을 갖는다. 이 내부 슬롯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상속을 구현하는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킨다. __proto__
프로퍼티는 [[Prototype]]
내부 슬롯의 값, 즉 프로토타입 객체를 가리킨다. 내부 슬롯에는 직접 접근할 수 없지만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Prototype]]
내부 슬롯에도 직접 접근할 수 없지만 __proto__
접근자 프로퍼티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const obj = { a: 1 };
// obj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는 Object.prototype이다.
console.log(obj.__proto__ === Object.prototype); // true
// Object.prototype 객체의 프로토타입 객체는 null이다.
console.log(obj.__proto__.__proto__ === null); // true
console.log(obj.hasOwnProperty('__proto__')); //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