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에서 변수와 상수에 대한 이해: let
과 const
JavaScript에서 변수와 상수를 선언할 때는 let
과 const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각각의 사용 목적과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const
를 통해 선언한 객체의 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let
과 const
의 차이let
예시:
let age = 25;
age = 30; // 재할당 가능
console.log(age); // 30
const
let
과 마찬가지로 블록 스코프를 가집니다.예시:
const name = "Alice";
// name = "Bob"; // Error: 재할당 불가
console.log(name); // Alice
const
로 선언한 객체const
로 선언된 변수는 재할당할 수 없지만, 참조형 데이터인 객체와 배열의 내부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는 const
로 선언된 객체의 참조 주소는 변경되지 않지만, 그 안의 프로퍼티는 변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시:
const person = { name: "Alice", age: 25 };
person.age = 30; // 객체 내부의 프로퍼티는 변경 가능
console.log(person.age); // 30
// person = { name: "Bob" }; // Error: 재할당 불가
let
과 const
를 사용하는 이유const
사용
let
사용
예시:
const PI = 3.14159; // 상수, 절대 변경되지 않아야 함
let sum = 0;
for (let i = 1; i <= 10; i++) {
sum += i;
}
console.log(sum); // 55
JavaScript에서 let
과 const
는 각각 다른 목적을 가지고 사용됩니다. 재할당이 필요한 변수는 let
을, 재할당이 필요 없는 상수는 const
를 사용하세요. const
로 선언한 객체는 내부 프로퍼티가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고, 상황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