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에서의 객체와 프로퍼티 이해하기
JavaScript의 객체는 키-값 쌍의 모음으로, 데이터와 기능을 함께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객체 내 각 데이터 항목이나 함수를 '프로퍼티' 또는 '메서드'라고 부릅니다. 객체와 프로퍼티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JavaScript에서 객체를 생성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중괄호 {}
를 사용하는 리터럴 문법입니다.
let person = {
name: 'Alice',
age: 30
};
객체의 프로퍼티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점 표기법(dot notation)과 대괄호 표기법(bracket notation)입니다.
점 표기법
console.log(person.name); // Alice
대괄호 표기법
console.log(person['age']); // 30
대괄호 표기법은 키를 변수로 사용하거나, 키 이름에 공백이나 특수 문자가 포함된 경우 유용합니다.
객체에 새로운 프로퍼티를 추가하거나 기존 프로퍼티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person.job = 'Developer'; // 새 프로퍼티 추가
person.age = 31; // 기존 프로퍼티 수정
delete
연산자를 사용해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delete person.job;
in
연산자
console.log('name' in person); // true
console.log('job' in person); // false
!== undefined
검사
undefined
인지 확인하여 존재 여부를 파악합니다.console.log(person.name !== undefined); // true
console.log(person.job !== undefined); // false
ES6부터 객체 리터럴 내에서 계산된 프로퍼티 이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동적으로 프로퍼티 키를 생성할 때 유용합니다.
let property = 'score';
let value = 100;
let student = {
[property]: value
};
console.log(student.score); // 100
객체의 메서드는 객체의 프로퍼티에 할당된 함수입니다. 객체와 관련된 동작을 정의할 때 사용합니다.
person.greet = function() {
console.log(`Hello, my name is ${this.name}`);
};
person.greet(); // Hello, my name is Alice
this
키워드는 메서드가 속한 객체를 참조합니다.
모든 JavaScript 객체는 Object.prototype
에서 메서드와 속성을 상속받습니다. hasOwnProperty
와 같은 메서드는 거의 모든 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nsole.log(person.hasOwnProperty('name')); // true
Object.keys
메서드
console.log(Object.keys(person)); // ['name', 'age']
Object.values
메서드
console.log(Object.values(person)); // ['Alice', 30]
JavaScript의 객체와 프로퍼티는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코드를 모듈화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객체의 다양한 특성과 메서드를 활용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코드를 작성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