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로 윈도우 파일에 접근하기

ESH·2024년 6월 17일
0
post-thumbnail

제목: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을 사용하면 듀얼 부팅이나 가상 머신보다 더 가볍게 리눅스 환경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WSL의 또 다른 큰 장점은 윈도우에 있는 파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글에서는 WSL을 이용해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WSL이란?

WSL(Windows Subsystem for Linux)은 윈도우 10과 윈도우 11에서 리눅스 배포판을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호환성 레이어입니다. 이를 통해 리눅스 커맨드라인 도구와 애플리케이션을 윈도우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습니다.

WSL 설치

먼저 WSL을 설치해야 합니다. WSL 설치는 다음 명령어를 PowerShell에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됩니다:

wsl --install

위 명령어는 WSL과 기본 리눅스 배포판(우분투)을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기

WSL에서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과 윈도우 파일 시스템을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WSL에서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윈도우 드라이브 접근:
    리눅스 배포판에서 윈도우 드라이브를 /mnt 디렉토리 아래에 마운트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 드라이브는 /mnt/c에 마운트됩니다.

    cd /mnt/c
  2. 윈도우 파일 탐색:
    WSL 내에서 윈도우 파일을 탐색하고 조작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Documents 디렉토리에 접근하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cd /mnt/c/Users/YourUsername/Documents
  3. 파일 읽기/쓰기:
    WSL을 통해 윈도우 파일을 읽고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텍스트 파일을 읽고 편집하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cat /mnt/c/Users/YourUsername/Documents/example.txt
    nano /mnt/c/Users/YourUsername/Documents/example.txt
  4. 윈도우 프로그램 실행:
    WSL에서 윈도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모장을 실행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mnt/c/Windows/System32/notepad.exe

사용자 권한

WSL을 사용하면서 윈도우 파일에 접근할 때 접근 권한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 파일 시스템의 권한 설정 때문입니다. WSL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때 sudo 명령어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관리자 권한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WSL을 통해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유용하지만,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1. 접근 권한: ls 명령어를 사용했을 때 접근 권한이 없는 파일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윈도우 파일 시스템의 권한 설정 때문입니다.

  2. 윈도우에서 리눅스 파일 접근: 윈도우에서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윈도우 툴로 리눅스 파일을 열거나 수정하면 리눅스 파일 시스템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3. 파일 시스템 손상 방지: 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윈도우 파일 시스템과 구조가 다르므로, 두 파일 시스템 간의 작업 시에는 항상 백업을 권장합니다.

결론

WSL을 통해 윈도우에서 리눅스 환경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윈도우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여 작업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윈도우와 리눅스의 장점을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방법들을 참고하여 WSL을 효율적으로 사용해보세요.

profile
I'm studying web front-end developmen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