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nput('데이터를 입력하세요:')
데이터를 입력하세요 :
이렇게 나올 것이다. 이 때 입력할 값이 변수 'a'에 문자열로 입력될 것이다.
다른 형태로 입력하고 싶으면?
a=int(input())
b=float(input())
c=bool(input())
이 때 a는 정수형, b는 실수형, c는 논리형으로 저장된다!
print()
함수a='가나다' b=123 print(a) print(a,b,'요런식으로')
가나다 가나다 123 요런식으로
print() 함수는 ,(콤마)를 이용해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
a='가나다' b=123 print(f'테스트용: {a}') print(f'요거도 테스트용: {b}')
테스트용: 가나다 요거도 테스트용: 123
변수를 설정 해놨다면 print(f'{변수명}')
모양으로 출력이 가능하다.
format()
와 형식문자format()
함수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a=123 b=456 print('테스트용 : {}'.format(a)) print('마찬가지 : {} {}'.format(a,b))
테스트용 : 123 마찬가지 : 123 456
위의 그림처럼 {}가 순서대로 채워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
: 문자열 출력
%d
: 정수 출력
%f
: 실수 출력
a='가나다' b=3.14 print('출력 테스트1 : %s' %a) print('출력 테스트2 : %s, %f' %(a,b)) print('출력 테스트3 : %d' %b) print('출력 테스트4 : %f' %b)
출력 테스트1 : 가나다 출력 테스트2 : 가나다, 3.140000 출력 테스트3 : 3 출력 테스트4 : 3.140000
✅ %f
의 소수점 자리 설정하는 방법
%.(자릿수)f : 소수의 n자리까지 표현 (다음 자리수에서 반올림!)
print('Pi : %.0f' % 3.141592) print('Pi : %.2f' % 3.141592) print('Pi : %.4f' % 3.141592) print('Pi : %.6f' % 3.141592)
Pi : 3 Pi : 3.14 Pi : 3.1416 Pi : 3.141592